재테크의 거짓말 - 속지 않고 당하지 않는 재테크의 원칙
홍사황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는 중간 중간에 느낀 감정은 무언가 뒤통수를 한 대 얻어 맞은 기분이라면, 이 책의 마지막 부분을 읽고 책을 덮는 순간에는 무언가 철학에 관련된 서적을 읽은 듯한 느낌이 들게 하는 그런 책이다.
책은 시작에서부터 우리들이 지금 말하고 있는 재테크는 정말 우리들을 어디로 이끌고 있는가하는 자조적인 질문과 더불어 우리들이 기존에 알고 있던 재테크의 상식을 하나하나 파헤쳐 우리들에게 무엇이 잘못되었으며, 어디로 우리들이 가야 할 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우선 이 책은 주식의 거짓말에서 ‘역시 기회는 주식에 있다?’라는 물음표와 더불어 과연 우리들이 주식 투자를 통해 진정한 재테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던지고 있다. 주식투자를 통해 기관과 외국인을 상대로 한 개미투자자들이 이길 방법은 정말 거의 없으며, 우리들이 드는 펀드 또한 우리들의 몫으로 대부분이 수수료가 우리들의 수익을 갉아먹고 있음을 냉철하게 예기하면서, 인덴스펀드에 드는 것이 그나마 나은 방법임을 예기하고 있다. 또한 분산투자라는 허울 아래 여기 저기, 이 펀드, 저 펀드 드는 것 또한 진정한 분산 투자가 아니며, 우리들이 진정한 수익을 주식 투자로부터 얻기 위해선 내공부터 쌓아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다음으로 부동산의 거짓말에서는 ‘부동산 신화는 끝나지 않는다?’라는 물음과 더불어 정말 지금의 부동산 시장이 숨고르기인지, 강남의 재개발 아파트의 가격에 왜 우리가 신경을 쓰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해 예기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침체가 예상되는 지표와 신호가 더 강한데, 왜 세계적인 금융기관은 반대의 전망을 발표하는지 의아스럽다고 저자는 예기하고 있다. 아파트하면 떠 오르는 단어 중에 주택청약저축, 소위 만능통장이라는 것도 이제는 믿을 만한 것이 못된다는 통계에서 얻은 저자의 확신도 정말 실감이 가며, 상가나 오피스텔, 해외부동산 투자가 과연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지에 대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주는 저자의 분석이 일견 가슴에 와 닿는다.
저축의 거짓말에서는 “푼돈 모아 부자된다?”라는 의문과 더불어, 년간 1% 차이의 적금을 들기 위해 금융기관 여기 저기에 통장을 만들고 다니는 시간적인 비용을 생각한다면, 소액을 모으는 일반인들에게는 별로 가치가 없는 것임을 예기하며, 또한 신용카드를 사용하면서 얻는 포인트나 할인과 같은 혜택이 결국은 소비를 진작하여 사지 않아도 되는 물건을 소비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얻은 이득을 다 반납하고도 더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 신용카드보다는 현금을 사용하고, 부득이하면 체크카드를 사용하라고 예기하고 있다.
금융기관의 거짓말에서는 “금융 전문가는 투자자를 위해 존재한다?”라는 물음과 더불어 각종 금융기관의 문제점과 한국 사회에서의 은행, 보험회사, 증권회사 등의 금융기관이 어떻게 운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끝으로 이 책의 저자는 속지 않는 재테크에서 은퇴계획이라던가 진정한 재테크가 자신을 위한 투자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기존의 재테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시간과 더불어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진정한 재테크이며, 또한 자신의 미래를 위한 길임을 알게 되었다. 정말 주변의 지인들에게 소개해 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