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바로 일하라 - 성과는 일벌레를 좋아하지 않는다
제이슨 프라이드 & 데이비드 하이네마이어 핸슨 지음, 정성묵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오늘날과 같이 경쟁이 치열한 세상을 살아가면서 늘 성과라는 것을 제외하고 지금 하고 있는 업무를 예기할 수 없는 업무환경에 놓여 있다. 그런 면에서 우리들은 지금의 업무방식이나 우리들이 알고 있는 상식적인 것들이 진정 똑바로 일을 하는데 맞는 말인지에 대해 한번도 의심을 하지 않고 그냥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고 생각해 본 사람이라면 이 책을 집어 들고 몇 장을 읽자 말자 고개를 끄덕이거나 손벽을 딱하고 쳤을 것 같다.
<린치핀>으로 널리 알려진 세스 고딘의 한 마디, [이 책을 무시하면 위험해진다.] 에서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주며, 마크 큐반의 MBA 출신과 이 책을 읽은 사람 중에서 선택하라면 이 책을 읽은 사람을 선택할 것이라는 말은 강한 울림과 더불어 이 책의 첫 장을 열고 읽어보게 만들었다.
참으로 “틀을 파괴하라”라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위대해지는 법”까지 하나 하나 읽어가다 보면 여태 알고 있었던 상식의 틀을 파괴하고, 익히 알고 있었던 것들 – 실패에서 배운다, 완벽한 계획, 성장이 좋은 것이다, 사업가 등 - 에 대해 달리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일을 어떻게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으며,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해 많은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여태 일을 하면서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한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으며, 채용을 할 때 사람의 어떤 모습을 봐야 하는지 무엇이 중요한 지에 대해서도 좋은 지혜를 얻을 수 있었다.
진정 업무를 하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생각보다는 그냥 앞만 보고 나아간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만들어 주는 이 책은 여태 읽은 여러 가지 경영이나 자기 계발 서적에 비해 너무나 구성면에서도 내용면에서도 차별화를 기하고 있으며, 그것이 이 책의 색다른 매력으로 다가온다.
이전의 책들은 대부분 많은 부분을 경영학이나 경제학의 바탕 위에 인간관계나 팀원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예기하거나, 또는 독자들에게 실제로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의 사례를 들어서 우리들도 그렇게 할 수 있으니 따라오라는 식의 안내서에 가깝다고 한다면, 이 책은 그런 안내서와는 완전히 다른 구성으로 기존의 틀을 깨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기존의 과정보다는 성과에 집중하는 그런 마음가짐과 상식으로 여겨졌던 여러 가지 것들에 대한 독설과도 같은 일침을 책 여기 저기에서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최근 읽었던 R.O.W.E(Result-Only Work Environment)라는 성과 중심의 업무 환경과도 어느 정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으나, R.O.W.E 가 베스트바이라는 회사의 예기를 하는 것이라면, 이 책은 REWORK라는 개념으로 정말 일을 하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만든다.
또한 [고 포인트]에서 말하는 선택과 결정의 힘에 있어서 어디에 포인트를 두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으로,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분에게도, 여태 많은 경험을 한 중간관리자 및 기업의 경영자에게도 어울리는 책으로 여겨 진다. 물론 다소 동양의 정서, 튀지 않아야 하는 문화를 중시하는 우리네 문화와는 맞지 않는 부분도 없지 않아 있지만, 그것도 또한 이 책이 주는 매력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은 이 책이 주는 신선함 때문은 아닐까! 하는 느낌을 가지며 이 책을 덮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