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 속 7여신이 알려주는 나의 미래
김대웅 지음 / 아이엠북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그리스 신화라고 하면, 어린 시절 읽은 그리스 신화집이 다이며, 자라서는 영화나 럭셔리한 제품에 인용되는 것을 보면서 아직도 신화에 나오는 이름들이 우리들 삶에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그냥 지나쳐 갔었는데, 이 책은 그런 나에게 상당히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 책이다.
우선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제우스나 포세이돈과 같은 남성을 상징하는 신들이 아니라, 여신들에 대한 예기를 하고 있다는 점이 정말 흥미를 일으켰다. ‘결혼의 수호신이자 만인의 어머니’ 헤라(유노), ‘지혜의 여신’ 아테나(미네르바), ‘달과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디아나),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비너스), ‘화로의 여신’ 헤스키아(베스타), ‘곡식의 여신’ 데메테르(케레스)와 ‘지하세계의 여신’ 페르세포네(프로세르피나) 들의 삶을 재조명하고 그 성격을 예기하고 있는 이 책은, 자신이 어떤 여신과 비슷한 지를 생각해 보고, 이를 통해 자신이 부족한 점은 무엇이고 강한 점은 무엇인지를 알게 해 준다.
이 책은 자기계발서라고 하기에도, 역사서라고 하기에도 그 어떤 분류에도 넣기 힘들어 보이는 책이지만, 그 재미는 역사서보다 더하며, 자기계발을 생각하게 함에 있어서는 또한 독특한 매력을 풍기는 그런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의 경우는 ‘달과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디아나, Diana)가 가장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었다. 제우스와 레토(Leto) 사이에서 태어난 여신이며, 우리에게는 다이아나로 더 잘 알려진 신으로서, 진취적이며 야성적인 여신의 모습을 예기하는 부분에서 정말 이런 여인상이라면 어떤 삶을 살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모순적인 삶을 보여줬다는 이 여신에게 끌리는 것은 왜 일까?
이 책을 읽어가다 보면, 중간중간 각각의 여신들의 모습 중에 끌리는 부분이 생기면서, 자신은 왜 이런 부분이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들에게 우리들과 가장 비슷한 여신을 찾아서 그러한 여신의 모습을 살고 있는 여인들의 재능, 삶, 성향, 결혼 등을 예기함으로써, 우리들이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고 있다.
수능이 얼마 전 끝나고, 이제 대학진학을 앞둔 청춘남녀들이나, 사회에 첫발을 내딧는 신입사원들이 읽으면 정말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자신을 찾아서 떠나는 여행에 같이 가지고 가기에 정말 좋은 책으로 여행지에서 읽어도 좋은 책으로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