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커스 씽킹 - 삶의 핵심을 꿰뚫는 책읽기
박성후 지음 / 경향미디어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먼저 이 책은 기존의 다독에 대한 개념을 바꾸어 주는 책이다. 여태 우리는 한 수레의 책을 읽고 다양한 분야를 아는 것에 대한 예기로 다독을 말했으며, 그래서 열심히(?) 많은 책을 읽으려고 하지 않았던가?
그런데 이 책은 가공되지 않은 정보는 쓰레기라면서 One Page 독서노트를 통해 자신이 읽은 책을 요약 정리해 봄으로써, 그 책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라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예기하고 있다. 또한 정리되지 않은 책읽기는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표현으로 마구잡이 책읽기에 대해 일침을 놓고 있다. 독서토론회라던가, 같은 책을 읽고 예기를 나누는 것에 있어서도, 자기 자신이 그 책에 대한 정리가 되지 않았다면, 그 책을 같이 읽은 사람들과 하는 독서토론도 시간 낭비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다.
이 책은 주제를 정해서 책을 읽고, 그것을 정리하며, 핵심이 무엇인지를 자기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에 대해 예기해 주고 있어서, 독서에 대한 생각을 달리 하게 만든다.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책을 읽고 지내는 것은 해박한 지식을 쌓는 것이라는 생각을 주로 하고 있었다면, 이 책을 읽고 나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책읽기의 중요성과 이런 포커스 리딩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독자들을 이끌고 있다.
다소 처음 접한다면 생소할 수도 있는 주제를 가지고 많은 예기를 해 주는 저자의 이 책은 여태 스티븐 코비 등의 해외 학자들의 책들에서 느끼지 못한 시원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저자가 한국인이며,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책이 구성되어져 있어서는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독서를 취미로 하는 분들,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분들, 아님 독서는 힘들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읽은 후의 느낌은 여태 등불도 하나 들지 않고 앞만 보고 묵묵히 “책읽기”를 했다면, 이 책을 읽은 이후에는 등불을 들고 방향을 미리 확인한 후, 가고자 하는 곳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는 느낌을 이 책을 통해 받을 수 있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