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사람들은 말의 8할이 부정이다
프란체스코 알베로니 지음, 정선희 옮김 / 스마트비즈니스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저자 프란체스코의 전작 [성공한 사람들은 말의 절반이 칭찬이다]라는 책을 읽어본 후, 이 책을 읽는다면, 정말 인생의 성공에 대한 키워드로써 “칭찬과 부정”이라는 단어에서 지혜를 얻을 수 있으리라. 전작에서 칭찬하면 인생이 부드러워지고 즐거워진다고 말했던 저자는 이 책에서는 부정을 긍정으로 만드는 4가지 질문을 독자들에게 던져 준다.
“어떻게 편견없이 사람을 바라볼까?”
“어떻게 미움없이 세상을 이겨낼까?”
“어떻게 시기없이 인생을 가꿀까?”
“어떻게 상처없이 사랑을 이룰까?”
이렇게 긍정으로 가는 4가지 질문에 대해 생각하며, 각 질문에 저자의 혜안으로 독자들에게 해답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이 책은 구성되어져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의 구성은 탄탄하며, 내용은 또한 대 전제를 통한 하나하나의 예기가 무척이나 마음에 와 닿도록 씌여져 있다.
사람에 대한 예기를 하는 “어떻게 편견없이 사람을 바라볼까?”의 부분에서는 어떤 사람을 신뢰하고 어떤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지에 대해, 가까이 할 사람과 멀리 할 사람을 어떻게 구별 지을지에 대해, 복잡한 사람들의 속마음을 읽을 수 있는 지혜에 대해 예기해 주고 있다.
나의 경우는 이 부분에서는 “무절제함은 모든 것을 들통나게 한다”라는 곳에서 자제심과 욕설을 하는 것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 지에 대한 저자의 예기를 들으면서, 거친 말은 어떤 사상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자신을 변하려고 하지 않으면서 욕구 불만을 안고 있는 사람의 불쾌감과 원한의 표현일 뿐이라는 저자의 해석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어떻게 미움없이 세상을 이겨낼까?”에서는 인간은 마음이 상처받기 쉬운 존재임을 예기하면서 그러하기에 ‘마음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실패, 이겨내야 할 이유가 너무나 많다]라는 곳에서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시간이 아니다. 우리를 해방시켜주는 것은 실패 그 자체이다.”라는 심연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이렇듯 이 책은 각각의 물음에 대해 우리들에게 그 해답을 하나하나 제시해 가면서 독자들이 길을 잃지 않고, 자신의 삶을 긍정의 말들로 바꾸고, 부정도 재해석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이 책의 마지막에 실린 사랑에 관한 예기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사랑하라는 저자의 말이 가장 가슴에 남는다. 이는 저자가 “사랑은 또 하나의 우주와 만나는 것”이라는 부분에서 예기한 “진짜 노화는 꿈도 꾸지 않고 사람들의 가능성도 믿지 않게 되었을 때부터 시작된다”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렇듯 이 책은 사람, 세상, 인생, 사랑 이라는 커다란 4가지 주제를 가지고 독자들에게 잔잔한 목소리로 지혜를 들려주는 듯해, 주제가 다소 무겁다는 느낌에도 불구하고 다 읽고 난 이후에 느끼는 마음은 훈훈함과 무언가를 얻은 듯한 기쁨으로 충만하다.
이런 느낌의 책이기에 이 여름, 휴가철 바닷가에서 혹은 시원한 나무 그늘 밑에서 읽을 책 중의 하나로 이 책을 말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