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마, 죽지 마, 사랑할 거야 -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
김효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정말 픽션이면 하는 바램으로 읽으면서, 수많은 부분에서 눈시울을 붉히며 눈물을 흘리며 읽어 야 하는 “책, 울지마, 죽지마, 사랑할거야”, 하지만 논픽션이기에 더욱더 가슴을 저미는 책이다.
부제로 달린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에서 말해 주듯이 저자 김효선씨가 큰 딸 서연이랑 보낸 2년 6개월간의 추억이자, 소중한 깨달음의 시간을 가슴으로 기록한 이 책을 읽고는, 무심히 지나치고 있는 지금 이 순간의 사소한 일들이 정말 소중한 것들이고, 사소한 일상이 행복임을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의 목소리를 통해 절실히 느끼게 된다.
백혈병이라는 병의 무서움을 알고는 있었지만, 이렇게까지 치유의 과정이 고통스럽고, 치유가 된다고 해도 재발의 가능성이 있으며, 정말 골수이식만으로도 완치되는 것도 아닌 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저자의 눈에 비친 치료과정의 어려움과 환자 및 가족들의 마음 고생까지 정말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은 저자가 딸과의 어려웠던 투병생활을 정말 가슴에 흐르는 처절한 심정으로 썼기에 독자들의 눈에 그냥 눈물이 맺히게 하고, 서연의 죽음이 이 책의 끝이 아니길 희망하며 읽도록 만들고 있다.
정말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았던 일들이 아프게 되면 그렇게도 우리들에게 소중한 것이 되고, 새로운 것들이 되는 것은 알지만, 이 책을 통해 가슴 깊이 느꼈으며, 또한 우리들에게 주변 사람들의 사랑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저자가 표현한 데로 “사람보험”의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또한 서연이나 지혜와 같은 병실의 가련한 어린 환자들의 아름다운 영혼이 우리들의 가슴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킨다. 항상 주변의 사람을 먼저 배려하고, 자신의 어려움 속에서도 부모와 친구들을 생각하며 의연하게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서연의 모습을 그려 보게 된다.
메멘토 모리 – “그대도 죽는다는 것을 잊지 마라” 는 뜻의 라틴어 경구라는 이 말이 정말 이 책을 덮으면서 절실히 느껴지면서, 다음의 생각이 가슴에 남는다.
‘나는 현재 주변의 사랑하는 이들에게 어떤 존재이며, 또한 내가 죽음의 문에 도달했을 때 어떤 느낌으로 맞이할 수 있을 것이며, 나의 죽은 후 비석이나 추모의 글에서 난 어떤 사람으로 인식될까?’
이 책의 목적이 사는 의미를 몰라 방황하는 사람들에게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고통받는 무균병동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은 것이었다면, 정말 나에겐 삶의 절실함, 오늘 사랑하는 이와 웃고 떠들 수 있는 것의 소중함을 가슴 깊이 느끼게 해 준 책이며, 또한 삶에서 방황하기에는 지금의 하나하나가 너무나 소중한 것들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 책이다.
현재의 소소한 삶 속에서 어떤 의미도 느끼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들이 있다면 이 책을 읽고 눈물 속에서 삶의 소중함을 느끼고, 현재 자신에게 주어진 하루 24시간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 보길 권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