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열도 - 영원한 이방인 사백 년의 기록
김충식 지음 / 효형출판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경술국치 100주년을 맞이하여, 요즘 서점가에는 정말 많은 구한말, 일제강점기 또는 일본과 관련된 서적이 출간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서점가의 한 곳을 차지하고 있는 이 책, 슬픈 열도 – 그냥 제목만을 봐서는 일본의 슬픈 역사를 예기한 것은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지만, 그것이 아니라는 것은 책의 표지에 붉게 그려진 일본 지도의 곳곳에 수 놓아진 그 이름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민족의 아픈 부분을 아련히 떠올려주는 그런 책이다.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 우리 민족이 일본에서 겪어야 했던 이방인으로서 살아가야 했던 아픈 삶에 대한 하나의 역사 스페셜과도 같은 책이다.
세계의 급변하는 정세를 보고 갑신정변을 일으킨 풍운아 김옥균의 일본 망명 십년의 궤적에서부터, 아직 잃어버린 모국어를 찾아 헤매는 작가 이회성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일본에서 살면서 한국이라는 아픈, 어쩌면 숨겨야만 했던 단어를 가슴에 안고 살아갔던 이들, 살고 있는 이들에 대한 예기를 우리들에게 고증을 통해 들려주는 책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국사 교과서에서 보지 못했던, 듣지 못했던, 아니 국사 교과서에 실리지 않았던 역사의 숨겨진, 잊혀진 예기들을 파노라마가 지나가듯이 눈앞에 생생히 볼 수 있다.
왜 역도산은 자신의 국적을 숨기며, 일본인으로 살아가야 했는지, 왜 소설가 다치하라 세이슈는 여섯 개의 이름을 가지고 살아가면서 “김윤규”라는 이름을 죽을 때까지 숨기며 살아야 했는지, 그리고 도공의 후예였던 박무덕이 왜 “도고 시게노리”라는 이름으로 살다가 외교관이 되어서 일본 패망시 외교업무를 해야 했으며, 전범으로 판정받아 옥사를 했는지에 대한 가슴 아픈 예기들이 이 책에 자세히 소개되어져 있다. 저자는 아마도 우리들에게 역사를 하나의 시각으로만 보지 말고, 그 시대 그 시절에 그 사람들이 처한 현실 속에서 최선의 선택을 했음을 예기하고 싶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들 곁에 다가와 있는 일본 문화들, 그리고 부산에서 배로 3시간만 가면 되는 곳 일본, 지정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이젠 참으로 가까워진 모습이다. 한때 우리네 젊은이들이 일본의 문화를 동경하던 시절이 있었다면, 지금은 우리의 한류하는 문화가 일본의 여기 저기에 전파되고 있는 지금의 현실을 생각해 볼 때, 우리 민족사에서 일본을 붉게 물들인 구한말의 여러 선현들의 희생이 있어서 가능하진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나 또한 알지 못했던 인물에 대한 예기들을 읽어 내려가다 보니, 어느새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뜨거워진 가슴을 안고 생각에 잠기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가슴의 막힘에서 출발해서 가슴의 아픔으로 이어지고, 책을 덮으면서는 가슴의 뜨거워짐으로 끝을 맺는다.
그러하기에 이 책을 읽고 그런 뜨거움과 서글픔, 막막함을 느껴보고 우리네 역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를 갖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