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는 철학, 답하는 종교
하카리 요시하루 지음, 김청균 옮김 / 어문학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책의 표지 디자인이 눈에 들어온다. 계단을 올라서 빛이 비추고 있는 문으로 향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구도자가 깨달음의 길을 가는 데 있어서 한발 한발 내디디는 그런 느낌이다. 하지만 이 책은 구도를 주제로 한 것이 아닌, 종교철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입문서로써의 역할에 충실하게 구성되어진 책이다.
세계 3대 종교라는 기독교, 불교, 이슬람교의 역사적 배경부터 발생된 시점, 그 정신적 뿌리까지 하나 하나 자세히 설명해 주면서 각 종교의 진리를 독자들에게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우선 종교가 다른 사람들이 다른 종교에 대해 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나, 이 책은 그런 종교 교리서가 아닌, 종교와 철학을 하나로 묶어서 종교철학이라는 어쩌면 새로운 학문에 속한 영역을 예기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저자 하키리 요시하루의 종교철학입문을 번역한 것으로써, 정말 각 종교에 대한 기원 및 예수 그리스도, 고타마 붓다, 무함마드의 인생에 대해서도 예기하며, 성경, 불교 대장경 및 각종 경전들, 그리고 이슬람교의 교리를 담은 코란에 이르기까지, 세계 3대 종교의 근본에 대해 예기하면서, 또한 무신론자들의 생각까지 망라한 책이다. 그래서 이 책 한권으로 우리는 세계 3대 종교의 기원부터 역사적인 의미, 기타 현대라는 시대에서의 종교의 의미와 역할 등에 대해 예기할 수 있다.
물론 쉽지 않은 주제를 다루는 책이라서 그런지 읽기에 쉽지 않음은 밝혀 두어야 할 것 같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종교철학의 입문서로써 자리를 차지한 데에는 저자의 방대한 자료에 대한 고증을 통한 저술도 한 몫 한 듯하다. 각 종교의 각종 관련 서적들을 망라한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하기 위해 참고한 문헌의 수에서 우리는 이 책의 짜임새를 미리 반추해 볼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이 학문적인 서적임에도 불구하고 대중들에게 실용서로도 다가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 책을 통해 오래간만에 철학이라는 장르에서 또 다른 분야에의 접목인 종교철학이란 분야에 눈을 돌리게 되었으며, 한 종교에 대한 편협한 사상에 의해 다른 종교를 배척하는 누를 범하지 않으려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도 좋은 것으로 보인다.
비록 세계 3대 종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어도 읽어나가는 데는 크게 장애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진 이 책의 매력은 아마도 누구나 쉽게 읽힐 수 있으나, 관심이 없는 이는 또한 서점에서 쉽게 손이 가지 않을 책이라는 것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