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무소유의 행복
장혜민 지음 / 산호와진주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대부분 우리 속가 대중들에게 큰 스님들의 뜻이 닿기는 쉽지 않은 듯하다.이렇듯 영멸하시고서야 그 분의 뜻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세간의 관심과 더불어, 그 분의 살아생전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이들에 의해 출간된 서적이 서점의 여기 저기를 차지하는 것을 보면 조금은 아는 듯 쉽기도 하지만, 이 책은 소박하게나마, 법정 스님의 무소유의 행복을 전하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에서 출발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미 영멸한 분의 과거 행적을 쫓아서 무엇에 쓰려느냐는 세속의 의문점이 있을지 몰라도, 이는 아마도 그 분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그 큰 뜻의 조금이나마 깨우치고, 내 마음에 닿기를 바라는 조그마한 중생의 바램은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된다.
“맑고 향기롭게”라는 운동은 알아도 법정스님은 알지 못했던 나로서는 이 분의 철학을 이해하려 하거나, 무소유라는 말의 의미를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화두로 삼겠다는 것은 아마도 어불성설일 것이다. 단지 그 분의 무소유 정신을 조금이나마 엿보기 위해 이 책을 들었으며, 저자는 아마도 이런 나와 같은 독자들의 마음을 담아서, 법정 스님의 큰 뜻에 누가 되지 않게 하려고 한 흔적이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었다.
이 책을 통해 본 법정 스님은 불교계를 포함한 종교계가 정치판에 의해 좌우되는 그런 모습에 일갈을 하시기도 하고, 다른 종교인들과도 폭넓은 교류를 하셨고, 그에 의해 암울한 시기에 위정자들의 감시를 받기도 하신 몸이지만, 그 청렴함이나, 순수함을 어떻게 범인의 잣대로 젤 수 있으랴!하는 생각을 하게끔 하는 부분들이 많았다.
책을 덮으면서, 종교의 다름과 사상의 다름을 떠나, 큰 스님을 살아생전 한 번 뵙지 못한 아쉬움에 큰 한숨 한번, 또 다비식 이후에 송광사를 찾아갔지만 큰 스님의 가르침 한 줄 얻지 못한 아쉬움에 또 한번 큰 한숨을 쉬며, 나무아미타불을 외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