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고비에 꼭 만나야 할 장자
이길환 지음 / 이든서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서평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옛 선현들의 지혜를 빌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할때, 우리는 고전을 찾아서 읽으며, 그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통해 지혜를 얻습니다.

그 얻은 지혜를 가지고, 현재 삶의 문제 또는 고민거리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실마리를 찾습니다.

그런 면에서, '장자'는 너무 멀리 느겨지거나 허무맹랑한 이야기들이 먼저 떠 오르는 그런 사상가입니다.

그런데, 최근에 읽은 <마흔 고비에 꼭 만나야 할 장자>의 이길환 저자는 장자를 허무맹랑한 것이 아니라,

초월적 긍정주의자라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그가 전하는 삶의 지혜를 나누어 줍니다.

장자의 사상을 그냥 읽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맞게 해석해서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보여줍니다. 정말 '러키비키'가 아주 잘 어울리는 이야기들과 지혜가 가득한 책입니다.

지금 기분이 다운되어 있거나, 고민이 있으신 분들은 이 책을 읽고, 초긍정적인 마음을 길어 올릴 수 있는 마중물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책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1장. 마음이 어지러운 마흔에게

2장. 삶의 희망을 찾는 마흔에게

3장. 관계의 평화를 원하는 마흔에게

4장. 앞만 보며 내달리는 마흔에게

책에서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이야기는 <장자의 제물론>에 나오는 다음의 이야기입니다.

사물은 '저것'이 아닌 것이 없고,

또 '이것'이 아닌 것이 없다.

저자는 이 이야기를 통해 그동안 명확하다고 여겼던 기준을 버리고, 세상을 선명하게 바라보려고 노력하자고 말합니다.

정말 아주 깊은 울림을 줍니다. 어떤 사건의 한 단면만을 바라보고, 편견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 지혜는 역시 '중용'에서 오는 것 같습니다.일상생활 속에 오해를 만드는 것도 너무나 자기 자시만의 기준이나 잣대로 제단하려고 하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1장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마음의 일렁임을 멈추어라'라는 이야기입니다.

<장자, 달생편>에 나오는 목계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이 이야기는 제가 평소 자주 인용하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투자심리에 있어, 목계지도를 가질 수 있다면, 정말 오랫동안 투자의 셰계에 안전하게 머물러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말이죠. 저자는 이 목계지도를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면서 실수를 하고 표정에 드러냄 없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자신의 테니스 경험을 통해 들려줍니다. 마음의 일렁임이라는 것, 우리 삶에 다가온 일련의 사건들에 반응하는 것이 결국에는 스트레스가 되고, 스스로를 망치는 지름길인 것을 마흔에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건강한 삶을 위해서 말이죠.

이어지는 2장에서 만나게 되는 <장자, 제물론> 편에 나오는 조삼모사의 기원이 되는 이야기를 저자는 다른 시각으로 해석해서 들려줍니다.

장자는 어리석음을 일깨우려는 의도보다는

'인생에서 정해진 도토리의 개수는 아무도 알지 못하니,

지금 손에 쥔 도토리가 부족하다고 절대 슬펴하지 말라' 고

하지 않았을까요?

정말 새로운 접근법이라서 신선한 충격을 줍니다. 그리고, 이 꼭지에서 저자는 퇴근길에 빨간불에 계속 멈추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산사태로 붕괴된 도로를 지나가지 않게 되었다는 에피소드를 들려줍니다. 이를 통해 삶의 이치를 다시 한번 생각하도록 이끕니다.

지금 주어진 상황이 결국에는 다가올 긍정적인 미래를 위해 신에 의해 준비된 배려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다음의 3장에서는 '자신의 판단으로 인생을 채워라'라는 이야기를 아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장자, 응제왕> 편에 나오는 혼돈의 몸에 구멍을 내는 숙과 홀의 이야기입니다. 혼돈이 불편할 것이라고 여긴 숙과 홀이 눈, 코, 입, 귀를 만들기 위해 7개의 구멍을 혼돈에게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이로 인해 혼돈은 그만 죽고 맙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각자 스스로의 모습을 잃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판단으로 인생을 채우라고 권합니다. 정말 누군가를 따라하는 삶, 미디어가 만들어서 보여주는 삶을 따라하는 것은 온전한 삶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

마지막 4장에서는 는'하잘것 없는 성취란 없다'라는 꼭지에서 들려주는 <장자, 소요유> 편의 구만리를 난다는 '붕'의 이야기입니다. 장자의 이야기 중 유명한 부분입니다. 보통은 대붕의 호쾌함이나 이를 통해 장자의 호방함을 이야기하는데, 이 책의 저자는 대붕이 아니라, 작은 새의 생각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아무리 작은 새라고 해도 중력을 거슬러 나는 행위를 하는 것이며, 이는 작은 성취라고 할 수 있지만, 칭찬받아 마땅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정말 하루 하루를 살아내는 스스로에게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렇듯, 이 책은 장자의 여러 이야기들을 하면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이 가져야 할 삶의 지혜 및 태도를 보여줍니다. 고전을 읽으면서, 그냥 지나쳤을 부분을 저자만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계를 통해, 우리들에게 또 다른 모습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도 좋습니다. 이 책은 나이에 상관없이 고전을 통해 지혜를 얻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일독을 해 보시길 권합니다. 고전을 어떻게 읽고, 본인만의 해석을 해서 생활의 지혜로 만들지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