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석, 백 년의 지혜 - 105세 철학자가 전하는 세기의 인생론
김형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형석 교수님은 이미 여러 방송을 통해서 익히 들어 알고 있던 분입니다.

100세를 넘기시고도 왕성한 활동을 하시는 모습이 정말 존경을 넘어 경이롭기까지 합니다. 지난 전작을 통해서 그 분이 가지신 지혜에 감탄하곤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또 다른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 책이 바로 <김형석, 백 년의 지혜> 입니다. 아마 책 제목에 교수님 성함이 들어간 것은 캐롤라인 스토신저의 <백년의 지혜> 때문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100 세, 멀어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 삶에서 100세가 의미하는 바를 알기에 오늘 이 책을 소개해 봅니다. 105세 철학자이자, 아직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계신 분의 이야기가 담긴 책이기에 말이죠.

그럼, 책의 구성을 우선 살펴보겠습니다.

1부. 무엇이 의미 있는 인생인가

2부. 사랑은 결국 세상을 바꾼다

3부. 선한 개인들이 자유롭고 행복해지기 위하여

책의 시작은 하나의 질문을 통해 우리에게 있어 무엇이 의미있는 인생인지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합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는 과정 속에서 김형석 교수님이 들려주는 지혜들을 생각하게 됩니다.

나는 왜 태어났는가?

정말 삶을 관통하는 근본적인 질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육체가 노쇠해져도 정신은 늙지 않는다는 말씀에서 갑자기 부끄러움이 밀려듭니다. 인생 후반기를 준비하면서, 예전과 같지 않은 육체에 대한 고민만 했으니 말입니다. 늙지 않는 정신을 만들기 위해, 늘 호기심을 가지고 삶을 바라보고, 배움의 끈을 놓지 않아야겠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2부에서는 '사랑'이라는 인류의 오래된 지혜의 키워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사랑이 있는 교육이 세상을 바꾼다'라는 꼭지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는 정말 현재 한국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바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일과 사랑에 대한 다음 문구는 정말 간략하면서도 모든 것을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자신이 진정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사랑하고 있는지 자문하게 됩니다.

100년 시간에서 배운 것

"일을 사랑하는 사람이 행복하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대한민국이 지향하는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또 다른 인사이트를 줍니다. 민주국가의 큰 나무에는 정의로운 평등과 창의적 자유가 함께 열매를 맺어야 한다는 말씀이 울림을 줍니다. 이 나무를 휴머니즘(인간애)의 나무로 키워가는 것이라는 것도 세상을 바라보는 큰 시야를 제시하고 있어 무척이나 좋았습니다.

이 책은 이러하듯, 정말 많은 이야기와 사례들을 통해 지혜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마치 우리네 집에 계신 어른이 자신의 삶을 이야기해 줌으로써, 삶을 통해 얻은 지혜를 생생하게 들려주는 듯합니다.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이 떠 오를때 다시 한 번 더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