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는 내 마음의 심리법칙 - 우리는 왜 가끔 미친 짓을 하는 걸까
야오야오 지음, 김진아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를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인생을 스스로를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생각하는 저에게는 늘 저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거울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이러한 거울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책을 최근에 읽었습니다.

그 책이 바로 <나도 모르는 내 마음의 심리법칙>입니다.

책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잠재의식'입니다. 이 잠재의식, 무의식의 영역에 있는 내가 또 다른 자아이며, 이것이 아마 거울의 한 조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잠재의식에 대한 이야기로 이 책은 시작됩니다.

잠재의식이 던지는 '암시'받아먹기라는 꼭지에서는 우리가 암시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로젠탈 효과가 바로 이 암시에서 비롯된 것임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우울증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최근에 겪은 지인의 죽음과도 연결이 됩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울증은 꼭 치료해야 하는 병입니다. 그러하기에 자신의 잠재의식과의 대면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다시 한 번 듭니다.

다음 장에 이어지는 수면 장애에 대한 이야기도 정말 자세히 읽었습니다.

가끔 잠이 잘 안오면 책을 읽는 저는 이번 장을 읽으면서, 수면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보게 되었습니다.

잠재의식의 전달자, 꿈

왜 잠을 잘 자야 하는지를 바로 이야기해 주는 키워드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에 꼭 필요한 잠재의식과의 대화를 하는 무대가 바로 꿈인 것입니다.

책의 후반부에 있는 최면에 대한 이야기는 아주 흥미롭습니다.

아직 최면에 대한 경험은 없지만, 이 책속의 경험담을 통해서 최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최면의 단계를 영화 <인셉션>과 비교해서 들려주는 부분이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단지, 아래와 같이 영화 속 최면과 실제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해야 할 듯 합니다.

최면은 외부의 생각을 어떤 사람의 잠재의식에 심는 것이 아니라,

잠재의식에 원래 존재하는 자원을 끌어내어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호스피스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죽음에 대해 여러 가지를 생각하도록 이끕니다. 자기자신을 마음을 알아가면서 삶의 최종 종착역인 죽음을 대면하는 것은 즐겁지만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 만나게 되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차분하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우리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게 되는가도 들려주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죽음을 노래하는 레퀘임 5악장은 우리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해야 할 지에 대한 사유의 오솔길을 걸을 수 있도록 이끕니다.

이 책은 다양한 이야기들을 통해서 우리가 스스로에게 몰랐던 부분을 생각할 수 있도록 새로운 창을 하나 열어줍니다. 현재 스트레스가 많은 분들이나, 우울증, 수면 장애 등이 있으신 분들에게 꼭 읽어보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