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마음결 도덕경
김영희 지음 / 아름다운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순간 고전에 빠져서, 고전 탐독을 하는 독서 모임에 참석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읽었던 책 중의 하나가 노자의 도덕경이었습니다.

여러 출판사의 도덕경을 읽으면서, 노자가 예기한 무위자연의 심의에 대해 토론을 나누기도 했었습니다. 아직 고전의 깊은 묘미를 모를때라, 글 그대로 해석하고 이에 대해서 이야기했던 기억이 나네요. 정말 미숙한 상황이었죠.

그런데, 최근에 다시 노자의 도덕경을 만났습니다. 그런데, 이번 책은 제가 이전에 읽었던 도덕경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책이 바로 <자연의 마음결 도덕경> 입니다. 김영희 저자는 이 책의 서두에 기존 도덕경과 결이 다른 책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무엇이 다른 것이라는 말이지라는 생각으로 첫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순수하게 개인적인 성찰로만 글을 쓰기위해 노력했다.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도와 덕이 갖는 실제적인 의미를 깨달아 덕인이 되기를 바란다.

확실히 여태 제가 접했던 도덕경과는 결이 달랐습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저자의 바람에 조금이라도 보답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어 나갔습니다.

책의 초반부에 만나는 '생이불유'라는 문구에서 정말 무위의 힘을 깨닫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도덕경의 정수하는 무위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는 저자의 인사이트에 공감의 버튼을 누르게 됩니다.

무위는 일체의 작위를 배제하고 모든 일을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책의 중간에서 만나게 되는 '도상무명'이라는 문구는 도가 무엇인지를 정말 정확히 말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자는 이 부분에서 도라는 것이 단정지을 수 없으며, 이는 도라는 것이 막연하게 느끼며 실천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으로 독자들을 이끕니다.

정말 노자의 도의 깊이를 생각해 보는 새로운 창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책의 후반부에 있는 다음의 구절은 도와 덕, 그리고 덕인이 되기 위한 길을 어떻게 가야 할 지를 생각하게 이끕니다.

도덕경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글이다.

도와 덕은 특정한 누군가의 것이 아니라, 만민을 위한 것이고, 만민이 이미 모두 그 바탕에 마음밭에 가지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도와 덕을 우리 마음밭에서 발견하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노자의 무위, 그 속에 담긴 도와 덕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따라가다 보면, 어렵게 느껴지던 도덕경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