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붕의 메타버스 이야기 - 디지털 신대륙에 사는 신인류, 그들이 만드는 신세계
최재붕 지음 / 북인어박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노 사피엔스>라는 책으로 만났던 최재붕 교수님의 신작을 최근에 읽었습니다.

최재붕 교수님의 초청 강연도 들었기에, 이번의 신작에 대한 기대가 더욱더 증폭되는 느낌이었습니다.

이번 신작은 최근에 자주 듣게 되는 단어인 메타버스에 대한 책입니다.

이미 우리 일상에 알게 모르게 들어와 있는 메타버스의 세상을 이 책을 통해서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이 들려주고자 하는 이야기는 책의 띠지에 있는 다음의 문구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디지털 뉴노멀' 문명 읽기!

그럼, 책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I. 사피엔스, 코로나를 만나다 ― 디지털 신대륙으로의 도피

1. [New Normal] 역사의 선상에서 마주친 ‘새로운 문명의 기록’

2 [Singularity] 디지털 신대륙의 탄생과 새로운 식민지 전쟁

II. ‘디지털 문해력’이라는 무기를 가진 자들 ― 슈퍼 사피엔스의 등장

1. [Super sapiens] 검색하는 인류, 빠르게 습득하고 빠르게 편집하다

2. [Digital Literacy]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 일의 격格이 달라진다

III. ‘그들’이 간다, 디지털 신대륙에 상륙하라 ― 메타버스, 크립토, NFT의 향방

1. [Millennials] 새로운 영토에서 낡은 모든 것에 저항하다

2. [Gen Z-Metaverse] Z세대가 만드는 디지털 신세계의 확장판

3. [NFT] 메타버스와 함께 확장하는 NFT 세상

4. [Digital Mutants] 다윈의 진화론,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변종들

IV. ‘열광하는 대상’이 곧 법이고 규칙이다 ― 가장 ‘나’다운 것

1. [Decentralization] ‘내’가 혁명의 중심이자 목적, 소비 혁명

2. [Fandom] ‘팬덤 경제’가 모든 산업을 휩쓴다

3. [Origin] ‘나다움’, ‘우리다움’에 집중한다는 것

V. 모든 것은 사람으로 돌아온다 ― 디지털 신대륙에서의 ‘인간다움’

1. [Humanity] ‘인간다움’이 지배하는 디지털 신세계

2. [New Emotions] ‘잊을 수 없는 기억’을 선사하는 사람들

3. [ESG] 디지털 신대륙, 기술과 인문이 조화되는 땅

저는 책을 고르기 전에 주로 책의 앞 부분에 있는 '저자의 글, 들어가기, 프롤로그' 등을 읽습니다. 그런 다음에 책을 고르곤 합니다.

이 책의 프롤로그도 상당히 인상적입니다.

'그곳'에서는 모든 규칙이 새로 쓰인다

프롤로그의 머릿글입니다. 우와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디지털 뉴노멀의 세상에서의 규칙은 모두 새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함축하는 문장입니다. 이 책은 이것을 이야기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신대륙, 메타버스의 세상은 과연 어떠한 것일까요?

먼저, 코로나는 인류를 디지털 신대륙으로 도피하도록 만들었다고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디지털 신대륙의 종주국은 미국이며, 신대륙을 차지하고자 하는 열강들의 보이지 않는 전쟁이 지금 우리 곁에 와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해야 할 선택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이끕니다. 정말 아주 인상적입니다.

150년 전에도 그랬듯 다른 나라가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선택이 문제입니다.

지금 우리의 태도가 미래를 결정합니다.

정말 이보다 더 강력한 말이 어디 있을까요?

지금 우리는 디지털 뉴노멀의 시대, 그 격동기 한 가운데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저는 이에 대한 해답을 이 책을 읽으면서 찾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만큼 이 책이 보여주는 다가오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로우면서도, 미래를 생각하게 만듭니다.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 일의 격이 달라진다.

위의 문장은 이 책의 2장에 나오는 하나의 꼭지를 시작하는 글입니다.

정말 미래사회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해 보도록 이끕니다.

따라갈 그들이 없는 세상에서 나만의 무기를 만들고, 이를 새로운 디지털 신대륙에서 활용하는 것이 지금 우리가 마주하는 미래인 것입니다.

정말 무한대의 '생각의 창'을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의 중간에서 만나게 되는 '메타버스, 크립토, NFT의 향방'에 대한 저자의 글들은 정말 많은 인사이트를 담고 있습니다.

Z세대가 만드는 디지털 신세계의 확장판이라는 꼭지는 M 세대들이 만든 디지털 문명이 Z 세대들을 거치면서 어떻게 발전,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가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 지를 보여줍니다.

그것이 바로, <가장 '나' 다운 것> 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4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서 위의 화두를 생각해 보게 됩니다.

'나다움', '우리다움'에 집중하는 것

이러한 변화의 물결의 마지막에는 결국 '인간다움'이라는 명제로 귀결됩니다.

인간다움, 사람 냄새를 요구하는 디지털 문명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앞으로 디지털 신대륙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 것인지를 상상해 보게 됩니다.

이 책을 통해 메타버스를 여행하면서, 정말 지금 우리가 맞이하고 있는 뉴노멀을 이해하고, 기회를 포착할 수 있었습니다.

인문학 소양을 높이고 싶은 분, 트랜드에 대한 지식을 얻고 싶으신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또한 투자자의 관점에서도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최재붕의메타버스이야기

#최재붕

#메타버스

#디지털신대륙

#MZ세대

#북인어박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