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으로 떠난 인어
지병림 지음 / 사막과별빛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저자 지병림은 저자의 다른 책으로 만난 기억이 나네요.

저자의 전작들 중에서 <서른 살 승무원>을 읽으면서, 글을 참 재미있게 쓴다고 생각했었는데 말이죠!

승무원 생활만으로도 바쁠 텐데, 이렇게 글까지 쓰는 것을 보면서, 자극을 좀 받았었죠. 그 시절 저는 블로그에 글쓰는 것 조차도 어려워했었거든요.

그런데, 저자가 어엿히 문단에 등극한 소설가라니, 또 한 번 놀라게 되네요.

그래서, 읽게 된 책이 바로 <사막으로 떠난 인어>, 저자의 소설집입니다.

소설집이라는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이 책 속에는 10개의 단편이 들어 있습니다.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다년이 바로 책 제목인 '사막으로 떠난 인어'입니다.

'내 첫사랑은 게이였다' 라는 첫 문장으로 눈길을 끈 이 작품은 저자 자신의 이야기인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첫사랑 게이는 바로 장국영을 말합니다. 장국영이라는 모티브를 가지고, 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남자를 연결합니다. 아주 자연스러운 연결과 결말을 알 수 있는 복선이라고 할만합니다.

소설 속 주인공이 스튜어디스가 되어서 찾아간 엄마에게서 여주인공은 원하는 사랑을 얻질 못합니다. 정말 안타까운 마음을 이입하게 되네요.

그리고, 이 단편소설의 마지막에 있는 아래 글귀는 사랑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삶에 대한 사유의 시간을 제공합니다.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삶은 껍데기일 뿐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순정에서 만나게 된 여주인공 은영의 삶은 사랑에 대한 또 다른 창을 제시합니다.

누가 먼저날 것도 없이 욕심내고 단념하기를 반복했던

이 하나의 생이 꿈이라면...

저는 이 소설집 중의 여러 소설 중에서 '인어의 꿈'을 아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책의 중간에 있는 이 소설에서 등장하는 여주인공인 양기자의 삶과 황팀장의 모습이 어딘지 모를 우리 사회의 한 부분을 보여주는 듯 해서 말이죠.

그리고, 인어라는 모티브를 앞의 소설 속에서도 말하면서, 저자는 이 소설 속에서는 인어가 어떤 꿈을 꾸는지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인어가 있어야 할 세상은 아마도 현실 세계는 아니겠죠? 그러하기에, 이 단편 속 여주인공인 양기자는 자신이 다니는 회사를 그만두고 싶어하죠. 아니 그만둘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죠. 마지막에 가위를 들고 산부인과로 찾아가는데, 그 이후는 열린 결말로 둔 저자의 의도가 궁금하네요.

이렇게 이 책 속에서는 다양한 여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사랑, 이별, 꿈, 우정, 모성 등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사랑이라는 키워드 하나로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사막으로 떠난 인어라는 제목은 결국에는 현재에 머물 수 없는 인어가 물도 없는 사막으로 간 이유가 무엇일지를 독자들에게 던지는 것은 아닐까요?

선선한 바람이 부는 밤, 이 소설과 함께 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생각의 창을 확대하고, 사랑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서 말이죠.

무엇보다도, 간결하면서도 재미있게 쓴 저자의 글이 깔끔한 맛이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사막으로떠난인어

#지병림

#사막과별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