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투자의 연구 - ESG Way, 새로운 투자의 길을 묻다
가토 야스유키 지음, 최진아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이미 ESG 라는 용어는 익숙해진 것 같습니다. 국내 애널보고서를 보아도 ESG 라는 개념이 등장하니 말이죠. 그런데, 이러한 ESG 가 실제 투자를 함에 있어서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읽게 된 책이 바로 <ESG 투자의 연구> 입니다.

이 책은 2018년 일본에서 출간된 책입니다.

가토 야스유키라는 분이 편찬하신 것입니다. 이 책 속에는 여러 분들의 글이 같이 있다는 것이죠. ESG 투자에 대한 영구 성과를 모아 놓은 것이라고 머리말에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책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제1부 ESG 투자의 수익과 리스크

제2부 ESG 평가 방법과 평가 실무

제3부 ESG 투자 방법론

제4부 인게이지먼트와 기업가치 향상

제 1부에서는 ESG 수익과 리스크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투자 수익 개념으로는 사회적 수익과 금전적 수익으로 구분합니다. 실제 ESG 를 통해서 수익이 되는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도록 이끕니다.

그리고, ESG가 리스크 요소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봅니다. 'ESG 평가가 높은 종목에 투자할 경우 한층 더 높은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다'라는 가설을 검증해봄으로써 리스크 요소로서의 ESG 를 살펴봅니다. 이 부분에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한 결과를 이야기하면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습니다.

앞부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ESG 투자의 짧은 역사와 미성숙한 단계라는 현실을 감안하면, 이 검증 결과를 토대로 최종 결론을 도출한다는 것은 아직 시기상조일 수 있다.

다만, 당분간 ESG 평가 정보가 시장(기업가치)에 반영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ESG 지수에서도 초과수익이 관측될 가능성이 있다.

저는 위의 문장에서 '다만, ~~' 이후의 문장에 집중하게 됩니다.

ESG 지수에서도 초과수익이 나올 수 있다는 것에 말이죠. 우리라나도 아직은 ESG 지수를 통한 투자에서 걸음마 단계라고 한다면, 앞으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이 지수를 추종하는 ETF 의 성과가 우수한 결과를 이끌어내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이렇게 ESG 지수의 수익과 리스크를 살펴본 다음에, 이토 게이치의 'ESG 평가와 주가'라는 2장으로 안내합니다. 기업 지배구조 코드 및 스튜어드 십 코드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보고서 입니다.

이어지는 3장의 CSV 개념에 근거한 ESG 투자는 사회적 가치 창조가 생산성 향상 및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에 투자를 할 때, 어떤 투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지를 예측해 봅니다. 정말 인상적인 장이었습니다.

그리고, 4장에서는 ESG를 활용한 리스크 평가를 예기합니다. ESG 평가는 전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산출된 미래 리스크값의 변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이 부분에서 강조합니다. ESG 지표가 투자 포트폴리오 내에서 윤리적인 기준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예기합니다.

책의 중간에 있는 2부에서는 ESG 평가기관과 이러한 평가기관들이 어떻게 평가를 하는지를 자세히 들려줍니다. 재무적인 부분과 비재무적인 부분의 평가 기준에 대한 이야기를 한 다음에, MSCI의 ESG 등급 및 지수에 대해서 자세히 일러줍니다. 아주 유용한 부분입니다. 실제 ESG 지수 및 등급이 어떻게 산출되어져 기업가치에 반영되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ESG 투자 방법론을 이야기하는 3부를 저는 가장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ESG가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요소일 때 투자 방법으로 살펴보면서 나오는 '알파 획득, 베타 향상' 은 정말 자세히 읽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리스크 프리미엄을 가져오는 요소일 때의 투자 방법에서의 스마트 베타로 활용하는 방법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 있는 인게이지먼트는 정말 앞으로 ESG 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인게이먼트는 투자자가 투자한 기업과 대화를 통해 ESG 항목을 개선해나갈 것을 요구하는 것이기에 말이죠. 또한 경영전략과 ESG의 통합 또한 기업 경영 일선에 계신 분들이라면 향후 정말 신경써야 할 부분입니다.

이 책은 전반적으로 다소 어려운 용어들과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표들로 인해서 논문을 읽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더욱더 읽을 가치가 있습니다.

왜냐구요? 그에 대한 답변은 이 책의 다음 문구로 대신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ESG 평가가 가치평가에 반영되어간다면, ESG 평가 그 자체가 알파의 원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