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바꾸는 인문학, 변명 vs 변신 - 죽음을 말하는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다른가?
플라톤.프란츠 카프카 지음, 김문성 옮김 / 스타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의 묘미는 시간을 더 할수록 그 가치가 더해져, 우리들에게 새로운 울림을 주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는 고전을 읽으면서, 투자자로서의 삶, 부모로서의 삶, 그리고 평생 공부하는 학자로서의 삶을 생각해 보곤 합니다.

인문학을 즐겨 읽는 저에게 최근에 아주 흥미로운 구성의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 책이 바로 김문성님이 엮은 <생각을 바꾸는 인문학, 변명 vs 변신> 입니다.

가히 '플라톤의 변명'과 '카프카의 변신'을 한권으로 담아서 비교(?)해 볼 생각을 해 보았던가?

생각의 확장을 느끼게 만드는 책의 구성이 아닌가 하는 하면서 읽었습니다.

책의 구성은 정말 단순합니다.

프롤로그, 플라톤의 변명 그리고 카프카의 변신.

이렇게 딱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책 2권을 한 권으로 옮기고, 이를 설명하기 위한 프롤로그가 있습니다.

죽음을 말하는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다른가?

역자인 김문성님이 프롤로그에 던진 질문입니다.

정말 죽음이라는 키워드를 철학과 소설은 어떻게 달리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아님,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결국 같은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살아있는 동안 아무런 글도 남기지 않은 소크라테스입니다. 그런데, 그의 제자인 플라톤이 스승의 발자취를 남기고자 쓴 여러 글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소크라테스의 변명>이죠. 소크라테스가 재판에서 어떠한 이야기를 했느냐를 통해, 그 시대를 살펴보고, 또한 소크라테스가 죽음으로 말하고자 한 바를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이죠. 철학자의 죽음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고자 하는 울림이 어떠한 것인지, 그 시대를 상상하면서 느껴보게 됩니다.

"여러분은 나의 죽음을 결정했지만, 내가 죽은 후 곧 당신들에게 징벌이 내릴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명 중에서

유명한 위의 글귀를 다시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됩니다. 스스로 죽음의 문을 향해 들어간 소크라테스의 용기와 그의 사상에 대해서도 말이죠. 물론 모든 것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지금 잠시 눈을 감고 철학적 사유를 해 보게 됩니다.

그런 다음에, 바로 이어지는 카프카의 변신!

워낙 유명한 소설이라서 학창시절 여러 번 읽어죠. 물론 시험 준비를 위해서 말이죠.

그런 다음에 성인이 되어서 읽은 이 소설은 또 다른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무언가 삶의 무게를 느끼는 가장의 모습도 있고, 현실의 각박함에 숨을 쉴 수 없는 느낌이 드는 그런 상상력을 발휘한 저자의 필력에 감탄하기도 하면서 말이죠.

그런데, 소크라테스의 변명과 함께 읽으니, 카프카가 말한 죽음은 또 다르게 보입니다. 변신을 통해서 죽음으로 향해가는 삶의 궤적을 그려보게 되네요.

인생이란 것이 죽음이라는 끝을 향해 나아가면서, 다양한 궤적을 그리죠.

그러한 궤적 중간 중간에 우리는 스핀 오프를 하듯이, 하나씩 허물을 벋듯이 변신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말입니다.

두 권의 책을 한 권 속에서 읽으면서, 사유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 무척이나 좋았습니다. 인문학을 읽는 새로운 방법을 하나 배운 듯 합니다.

#생각을바꾸는인문학

#변신

#소크라테스의변명

#카프카

#플라톤

#김문성

#스타북스

#인문학추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