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공감 연습 - 정약용, 《논어》로 공감을 말하다
엄국화 지음 / 국민출판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오년 새해 연휴를 보내면서, 인문학 서적들을 몇 권 같이 읽었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책 중의 하나가 바로 <다산의 공감 연습>입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을 조명하는 책들은 이미 많이 읽었습니다.

이 책은 다산의 어떤 부분을 다루고자 하는 것인가하는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했습니다. 책 표지를 통해, 이 책이 <논어>로 공감을 말하는 다산의 이야기를 담은 것임을 알고 첫 장을 넘기게 되었습니다.

이 책이 어떠한 책인지는 '작가의 말'이라는 코너에서 다음과 같이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필자의 박사 학위 논문 <정약용의 소사학>에 대한 연구의 아이디어를 대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

사실, '정약용의 소사학'이라는 것부터 쉽지 않은 용어였습니다.

소사학이란 말 그대로 밝게 섬기는 것에 관한 연구라는 저자의 설명을 들어도, 쉽게 와 닿지 않았습니다. 소사학이라는 키워드보다는 '공감'이라는 키워드가 좀 더 쉽게 마음에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다 읽고는 왜 <논어>에서 말하는 공감을 이 책의 키워드로 삼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 공자, 공감을 말하다

2부. 정약용, 공감을 말하다

3부. 자공, 공감을 말하다

구성만 보아서는 어떤 내용인지 쉽게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책 한장 한장을 읽어내려가다 보면, 논어 속에서 이야기한 공감을 다산이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공자의 제자 중 자공의 공감은 또 어떠한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저자는 공감이 오늘날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 지를 생각해 볼 여백을 독자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논어>에서 '공감'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공감으로 풀이할 수 있는 서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지만, 그 글자 자체도 단 두 번 나온다고 말합니다. 정말 <논어>의 중요한 키워드 중의 하나가 공감인지 의아할 따름입니다.

<논어>, 공자 하면 '인'을 이야기하던 학창 시절이 떠오릅니다.

그리고, 제가 여태 읽었던 대부분의 논어에서는 인이 중요 키워드 였습니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 엄국화 박사님은 '공감'을 논어에서 키워드로 꼽은 다음에, 이를 정약용을 불러와서 연결시켰습니다. 정말 아주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정약용의 <논어고금주>의 여러 구절들을 통해서 앞서 이야기한 공감을 나타내는 단어인 서의 쓰임을 살펴봅니다.

이 책은 전반적으로 따라가기 쉽지 않았습니다. 쉽게 읽기 어려운 고전 속의 이야기를 풀어 써 설명해 주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고전 속의 공감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공감'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고전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다산 정약용의 저술들과 연결지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다산의공감연습

#논어

#논어고금주

#엄국화

#국민출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