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답은 내 안에 있다 - 길 잃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 인문학
김이섭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인생을 살다가다 보면, 답을 찾을 수 없는 경우를 만나곤 하죠.

삶의 연륜이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주어진 상황 속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를 만나고 합니다.

이러할 때, 저는 해답을 찾기 위한 조그마한 지혜라도 얻기 위해서 고전을 읽곤 합니다. 여러 고전을 읽다 보면, 그 속의 하나의 글 귀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얻곤 하죠.

그런데, 이번에 읽은 책 <인생의 답은 내 안에 있다>는 이러한 제 경험을 담은 듯한 책입니다. 물론 저보다 훨씬 뛰어나신 저자 김이섭이 쓰신 것입니다.

이 책은 인생의 답을 인문학에게 묻는다는 생각으로 출발한 듯 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인문학 속에서 건져 올린 주옥같은 이야기들이 함께 합니다.

책의 도입부, 인생유감에 있는 '원심력과 구심력' 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 인생을 바라보는 시각을 정리해 보게 됩니다.

원심력과 구심력이 조화와 균형을 이룰 때,

비로소 인생이 완성되는 건 아닐까.

그리고, 책을 읽어가다가 만난 '진정한 어른이 되기 위한 5단계'는 정말 소중한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진정한 어른이 되기 위한 5단계: 자기암시, 자기반성, 자기계발, 자기통제, 자기실현

그래서, 우리에는 멘토가 필요한 듯 합니다. 이 책에서도 멘토가 필요할 때라는 꼭지를 통해서 멘토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유토피아에서 따온, 멘토피아를 이야기합니다.

내게 유토피아는 멘토피아다.(중략)

서로가 서로에게 멘토가 되고 멘티가 되어 주는 세상,

그곳이 바로 유토피아인, 멘토피아다.

정말 공감되는 부분입니다. 우리가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멘토/멘티가 되어 줄 수 있다면, 이러한 분들이 더욱더 많아진다면, 정말 건전한 사회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책의 후반부에 이야기하는 '놀이터, 배움터, 일터, 쉼터, 꿈터'라는 인생의 다섯 가지 터는 제게 잠시 책을 덮고 사색에 잠기게 했습니다. 제게 있어서 다섯 가지 터는 어디인지하고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저자는 인생이 다섯 가지 터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특히나 꿐터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정말 공감하게 됩니다.

인생은 '꿈터'다.

아니 꿈터여야 한다

꿈을 꾸고 꿈을 키우고 꿈을 이룰 수 있는 세상이어야 한다.

우리는 삶의 목적이 행복이라고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행복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기 위해, 저자는 행복지수라는 것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행복 = P + (5XE) + (3xH) (by 캐럴 로스웰, 피트코언)

P: Personal, E: Existence, H: Higher order

저자는 행복지수가 행복을 주지는 않는다라는 말로 우리에게 행복이 어디서 오는지를 생각해 보도록 이끕니다. 걷고, 웃고, 지금의 삶에 충실한 것이 행복하다를 것을 저자는 다음에 여러 가지 이야기를 통해서 들려줍니다.

이 책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마주칠 법한 여러가지 질문들에 대해서,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여러 이야기들을 담고 있습니다.

현재 자신의 상황 속에서 최선의 답을 찾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기에 더 없이 좋은 책으로 주변에 추천하고 싶습니다.

#인생의답은내안에있다

#김이섭

#미디어숲

#인문학

#책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