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인문학을 먹고 산다 - 인문학으로 인공지능 시대를 주도하라
한지우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년 전,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이기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았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그 때 우리들은 인공지능이라는 기술에 주목을 했죠.

앞으로 다가올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우리들의 일자리를 모두 빼았아 버리는 것은 아닌지? 그럼 우리 아이들은 지금부터 모두 코딩을 배우고, 컴퓨터 공학을 전공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하고 말이죠.

그런데, 지금 돌이켜보면, 우리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주목해야 할 것은 인간의 창의성입니다. 그러하기에 더욱더 인문학에 눈길이 갑니다.

이러한 생각을 하는 중에 만나게 된 책이 바로 <AI는 인문학을 먹고 산다> 입니다.

저자 한지우는 인문학자이자 교육자 입니다. 그러하기에 인공지능이라는 테크보다는 인문학이라는 소프트 스킬에 주목한 듯 합니다.

저자는 우선 르네상스 시대와 대비해서 현재의 시대를 조명합니다.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시대를 돌아보도록 해 줍니다. 그런 다음에 우리로 하여금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시야를 확장하도록 이끕니다.

그러면서, 다음의 키워드들을 제시합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결정지을 키워드:

리스크 소사이어티, 그린 소사이어티, 드림 소사이어티

정말 키워드 하나 하나가 오늘날 화두로 삼을 만한 것입니다. 그리고, 이 키워드를 통해서 들여다 보는 미래 사회로의 확장도 인상적입니다.

우리가 주지하듯이, 코로나 펜데믹은 정말 우리의 일상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4차 산업 혁명을 가속화 시켰다는 것을 이 책은 강조합니다. 그러면서 이 책의 주제인 인공지능을 다음과 같이 예기합니다.

인공지능의 시대가 온다

정말 이미 우리 주변에는 인공 지능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르지만 말이죠. 인공지능이 불러올 예측 불가한 미래 사회를 저자는 드라마 및 영화 등을 통해서 쉽게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인해서 무용계급이 생기고, 새롭게 등장하 불멸의 인류, 호모 데우스에 대한 이야기는 섬뜩하기 까지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미래를 부정적으로 바라만 볼 것이 아니라,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저자는 이에 대한 해답들을 '4장,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는 법'에서 이야기합니다.

인공지능의 시대에는 꿈과 이야기를 파는 자들이 승리한다면서,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하이콘셉트와 하이터치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르네상스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인문학을 앞으로 다가올 4차 산업 혁명이 이끄는 첨단 기술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를 이 책의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인문학이 새로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욕구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돕기 때문이지요. 인문학은 비즈니스에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핵심요소이기도 합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는 시대에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은 아날로그 감성입니다. 그러하기에, 인문학은 그 역할이 더욱더 강조되고 확대될 것입니다. 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노스이스턴 대학 총장 조지프 아운의 다음의 말로 알 수 있습니다.

AI시대 고등교육은 인문학과 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인간학입니다. 기술, 데이터, 문해력이 인간학의 기초입니다.

이 책은 인공지능의 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우리들에게 미래 사회를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끕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에 꼭 필요한 창의성을 인문학을 바탕으로 발현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정말 앞으로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 지를 생각할 수 있는 좋은 책이었습니다.

#인공지능

#AI는인문학을먹고산다

#한지우

#미디어숲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