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투자 레전드 황만순의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 - 바이오, 반도체를 넘보다
황만순 지음 / 리치캠프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주식 투자를 하면서, 여러 섹터의 종목들을 보유했습니다.

물론 바이오 종목도 있죠. 그런데, 변동성이 심해서, 늘 고민이죠.

바이오 섹터의 종목들을 투자 포트폴리오에 계속 가져가야 할 지, 가져간다면 어떤 종목들을 담아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이 생깁니다.

이러한 때 <대한민국 바이오 투자>라는 책을 만났습니다.

황만순 저자는 바이오분야에서 근무하다가 아이센스 투자를 시작으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독보적인 VC 자리에 오른 인물입니다.

정말 이러한 분이 계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네요. 존경스럽네요.

책은 총 15장으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각 장에서 2~4개 정도이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2장 한국은 이제 반도체보다 바이오 시밀러 강국?'은 정말 바이오를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 하도록 해 줍니다.

그리고, 바이오 종목 투자를 하다 보면 접하게 되는 CMO, CDO 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서 좋았습니다. 현재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를 만들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의 행보에 대해서도 자세히 일러주고 있습니다. 투자 관심 종목 pool 에 넣어 볼 만한 종목들이 눈에 띕니다.

줄기세포 치료와 유전자 치료는 생소하지만, 이 분야도 향후 시장의 관심을 받게 된다면 어떠할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 중에서 어느 곳이 좋을까요? 이 부분에 있어서는 다음의 저자의 글이 정답이 아닐까 합니다.

바이오 분야는 국내든 미국이든 변동성이 다른 종목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죠. 그런 만큼 투자자의 성향이 안정적이라면 바이오 기업보다는 전통적인 제약 기업에 투자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저자는 나스닥에 있는 바이오 회사에 투자한다면 시가총액 최소 1조원이 넘는 회사에 투자하라고 권합니다.(솔직한 심정으로는 3조원 이상인 곳에 투자하셨으면 좋겠습니다라고 추가함). 정말 꼭 인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 가장 꼼꼼히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은 부분이 바로 '10장. 바이오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입니다.

저자는 경쟁자가 많거나 기술적으로 어려운 분야에 도전하는 기업은 투자하기에 부담이 된다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저자는 구체적인 분석 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바로 특허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회사가 만들어 놓은 데이터라고 이어서 이야기합니다. 세번째로는 경영진이라고 말합니다. 경영진의 트렉 레코드를 살펴보라고 말이죠.

정말 바이오 투자를 위해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짚어주고 있습니다.

또한 재무제표를 볼 때 무엇을 봐야 하는지도 알려주고 있어 감사합니다.

책의 후반에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아마존, 구글, 애플의 이야기를 하면서 말입니다. 정말 글로벌 기업들이 헬스케어 분야에서 어떤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는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자주 듣고 보게 되는 '마이크로바이옴'분야에 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의 현 위치를 살펴보고, 글로벌 제약사의 관련 파트너십 정리도 함께 볼 수 있어 유용했습니다.

그리고, 부록으로 실린 투자 레전드의 Top pick 33 도 정말 유용할 것 같습니다. 한 페이지당 한 종목식 분석해서 알려주고 있으니 말이죠.

이 책과 더불어 바이오 투자에 대한 시각을 넓힐 수 있는 시간을 가진 것 같습니다. 또한 여러 분야의 관련 회사들을 살펴보고, 미래에 어떤 분야의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이 열릴지도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대한민국바이오투자

#황만순

#리치캠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