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 - 핀테크 트렌드로 보는 밀레니얼이 원하는 미래 금융
김강원 지음 / 미래의창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오늘날 금융의 변화를 보면 너무나도 급변하고 있는 것을 실감하곤 합니다.

핀테크라는 기술이 금융에 접목되면서, 소비자의 니즈를 발빠르게 반영한 새로운 플랫폼들이 등장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일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한 것이었을까요?

그 해답과 미래 금융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책이 바로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입니다. 이 책은 베인앤드컴퍼니에 근무하고 있는 김강원 경영컨설턴트에 의해 씌여진 것입니다.

저자는 이 책의 도입부에 IT기업, 핀테크기업들에 의한 금융업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금융혁명이 아니다. 비지니스 모델 혁명이다."

정말 인사이트가 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1부. 모든 비즈니스는 핀테크로 통한다

2부. IT를 업고 부상한 신흥 금융 강자들

3부. 핀테크 트렌드로 보는 미래 금융

우선 핀테크 기업들이 금융의 중심에 서게 되었는지를 카카오뱅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해외 사례로 알리페이, 구글, 아마존, 그리고 애플 페이의 등장을 이야기합니다. 정말 우리 생활에 핀테크 금융이 이렇게나 가까이 와 있음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됩니다. 스타벅스의 금융업에 진출한다는 이야기도 또한 설득력있게 다가옵니다.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업들 뿐만 아니라 해외의 기업들이 고객의 어떤 부분을 파고들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앤트그룹이 자체적으로 신용평가 회사인 즈마신용을 운영한다는 이야기는 정말 놀라움을 넘어 획기적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라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아님, 벌써 카카오나 네이버가 이러한 부분에서도 활동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서학개미운동이라는 신조어를 만든 미국주식투자 관련 뉴스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로빈후드에 대한 부분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그럼, 이렇게 오늘날의 핀테크 금융을 살펴보았다면, 미래 금융은 어떨까요?

이에 대해 이 책은 코로나를 통해 옥석가리기가 시작되었으며, '카카오, 네이버, 토스 뚜렷한 3강 구도'가 형성되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미래 은행은 서비스로서의 은행으로 변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하기에, 지금 베이커리, 꽃집 등을 접목한 오픈 은행의 변신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 책은 핀테크 트렌드를 살펴보고, 가까운 미래 은행의 모습이 어떠할지를 그려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 좋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