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크리에이터가 된다는 것, 크리에이팅을 한다는 것은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끈기를 가지고 해야 함을 알게 해 줍니다.
그리고, 주변의 사람들로부터 받는 마음의 투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생각해 보게 됩니다.
실패, 스마트한 실패, 극복할 수 있는 실패를 통해 실패가 가득한 시장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저자의 이야기에서는 뒷통수를 한 대 맞은 느낌이었습니다.
크리에이터가 되기 위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저자는 ‘내 안의 잠든 창조자를 깨워라’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러기 위해 긍정적인 성격을 가지고 도전해 보라고 권합니다.
그렇다면, 크리에이팅 전략은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이에 대해 저자는 트랜드를 읽고 자신만의 색깔을 드러내라고 이야기합니다. 구체적으로 노트 한 권으로 하나씩 적어볼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처음 크리에이팅을 시작하는 분들에게 길잡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략도 짠 다음으로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아마도 주변에 많이 알려야 할 껍니다. 그런데, 아무도 방문하지 않고, 방문해도 그 숫자가 미약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자는 이러할 때 자신만의 성취 기준을 찾으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열등감의 채찍 아래에 오래 있지 말라고 권합니다. 비즈니스의 기본인 신뢰를 구축하면서, 꾸준히 자신만의 컨텐츠를 만들어 가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크리에이팅을 하기 위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찾으며, 어떻게 창의적으로 만들 것인가? 저자는 ‘지금 그 생각이 창작이다’를 통해서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알려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가 만든 콘텐츠를 어떻게 세일즈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줍니다. 그러면서, 지금 이 시대에 왜 크리에이팅을 해야 하며, 앞으로 AI 시대에는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의 여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이야기했듯이, 정말 쉽게 읽히는 책입니다. 그리고, 크리에이팅을 왜 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시작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팅 입문서라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크리에이팅을 무엇이며,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어 고마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