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 이후의 세계 - 블룸버그 선정 세계 1위 미래학자 제이슨 솅커의 미래예측
제이슨 솅커 지음, 박성현 옮김 / 미디어숲 / 2020년 5월
평점 :
‘포스트 코로나’라는 단어를
언론에서 자주 접하게 된다. 이미 우리는 코로나라는 블랙스완을 겪고 있으며, 이 터널의 끝이 언제인지 가늠하기 어렵다. 이러한 시기에 블룸버그
선정 세계 1위 미래학자인 제이슨 솅커의 긴급 예측을 책으로 만나게 된다. 그 책이 바로 <코로나 이후의 세계>이다. 정말 제목 자체가 우리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한다.
팬데믹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 및 경제가 붕괴된 상황 속에서 과연 그의 예측은 어떤 인사이트를 줄까? 위기와 기회는
상존하는 법이다. 이 책은 우리들이 이러한 코로나 19 이후의
세계 질서의 변화에 미리 선제 대응하여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코로나
이후의 일자리, 이미 변화가 우리 코 앞에 다가와있다. 재택근무가
확산되고, 화상회의가 일상이 되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래서, Zoom 의 주가도 그렇게 고공행진 하지 않았던가?
그리고, 교육에서의 변화는 이미 우리 아이들을 보면서 많이 느끼게
된다.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병행을 통해서, 아이들이 학습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또한 기존의 오프라인 강연은
대부분이 온라인 강연 콘텐츠로 바뀌고 있는 것을 직접 경험하고 있다.
그렇다면, 개인적으로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이에 대해서는 저자는 ‘5장 금융의 미래’를 통해서 하나의 창을 제시한다. 이 창이 또 하나의 투자 지혜를 제시해 주기도 한다.
이
책에서는 재정 정책, 농업, 부동산, 국가 안보, 정치의 미래도 다루고 있다. 이러한 분야별로 자신이 관심 있는 부분을 먼저 찾아서 읽어도 될 것 같다. 하지만, 순서대로 읽으면서, 베틀에서 천을 짜듯 포스트 코로나를 예측하는
창을 만들어보는 것이 더욱더 좋을 것 같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서 저자는 불황의 미래를 이야기한다. 앞으로 20년간
드리울 그림자를 예기하는 부분은 너무나 암울하다. 그러하기에, 이
책의 예측들이 틀렸으면 하는 마음도 든다.
이
책이 각 분야별로 예측한 시나리오 중의 일부는 진행 중이다. 그것은 바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의 재정정책이다. 이 책의 저자는 이렇게 계속 양적 완화를 하다
보면, 미국 경제가 양자 상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러한
예측이 나왔다는 것은 이에 대한 대응책들을 경제 석학들이 마련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우리는
현재 코로나 팬데믹의 터널의 어디쯤에 와 있다. 아직 백신도 개발되지 않았고, 변종 바이러스까지 생기는 상황에서 과연 눈을 어디에 두고, 투자의
화살을 쏘아야 할까?
이러한 생각을 하면서 읽기에는 더 없이 좋은 책이다. 다만, 너무 부정적이거나 어두운 부분에 매몰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할 것이다. 언제나
예측은 예측일 뿐이라는 생각으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