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금융, 트랜스포메이션(DX) 프런티어 ㅣ KBI 디지털금융시리즈
김수진 지음 / 한국금융연수원 / 202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금융도 이제 디지털화 되고 있음을 일상
생활에서 느끼고 있다. 어느새 기존 전통 금융기관이 아닌, 카카오뱅크, 토스 등 테크 기업들이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금융 기술이 주목받는 시대에 어울리는 전문도서를 표방하며 발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출간되었기에
이 책은 이 분야에서 교과서와도 같은 역할은 한다.
우선
이 책은 뱅크 4.0의 시대를 이야기한다. 이미 세계의 금융기관들은
디지털뱅크로 향해 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뱅크 4.0 시대의
디지털은행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며, 고객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도 더불어 해 주고
있다.
디지털
금융 분야에서의 경쟁자는 전통 금융기관들이 아니다. 바로 새로운 기술로 무장한 빅테크 기업들이다.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과 같은 테크 기업들이 어떻게 금융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또한, 차량호출 서비스, 중고
거래 플랫폼 등이 금융 서비스로 진출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 않지만 인상적이었다. 점점 금융과
테크 기업들간의 벽이 무너지고, 테크 기업들간에도 금융이라는 파이를 두고 경쟁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기존의 은행들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이야기하는 부분은 무척이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슈퍼 앱을 이야기하면서, 만나게 되는 위쳇, 메이투안 디엔핑, 그랩, 고젝, 아이푸드 등은 익숙한 것도 있었지만, 생소한 것들도 많아서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렇게 시작은 금융이 아니지만 결국에는 금융서비스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를
하나하나 이야기해 주고 있어 유익했다.
구독경제가 금융권에 올까? 이러한 의문으로 시작한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업체들의 이름은 낯설었지만, 정말 비즈니스 모델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금융서비스에서 구독형 모델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우리나라의 토스에서 실시하고 토스프라임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나도 오늘 이 서비스 가입을 하려다가 말았는데, 앞으로
더욱더 많은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 같다.
그렇다면, 디지털뱅킹은 기회일까, 위협일까? 이에 대해서도 이 책은 한 장을 할애하여 설명해 주고 있어서 고마웠다. 전
세계적으로 변화하는 디지털 금융의 현장을 설명해 주고, 이에 따라 파괴적 혁신이 일어는 디지털 세상에서
기존의 금융이 과련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이끈다.
차세대 금융 비즈니스 모델의 개화를 설명하는 Part 2에서는 세계적인
은행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어 고마웠다. 개별 은행의 사례와 전략을 통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Part 3 : DX로 변모하는 뱅크 4.0시대의 금융 서비스에서는 데이터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그리고, 한국의 현실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데, 정말
놀라움을 금할 길 없다. IT 인프라가 정말 잘 갖추어진 나라인데 데이터 산업은 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책의 마지막은 디지털 화폐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미래 금융을 살짝 엿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이렇게 DX 프론티어 환경과 기업들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금융을 이끌 DX 전문가들에게 정말 많은 인사이트를 줄 것 같다. 전문가들을
위한 책이어서, 일부 내용은 다소 어렵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정말 미래 금융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