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인지법(觀人之法), 사람을 보고, 쓰고, 키우는 법 - 사람을 알면 세상을 얻고, 알지 못하면 세상을 잃는다
임채성 지음 / 홍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사가 만사라고 하죠. 그리고, 그 어느 때보다 인재경영이 기업에서 화두가 된 듯 합니다. 이러한 때, 고전으로부터 인재경영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책을 만났습니다. 그 책이 바로 <관인지법:사람을 보고, 쓰고, 키우는 법> 이다.

제나라 환공의 물음에 재상 관중이 ‘4단계 리더십을 강조한 것으로부터 인재경영의 정수를 이야기한다.

그 핵심은지인(知人) - 용인(用人) - 중용(重用) - 위임(委任)’ 이 바로 그것이다.

제일 먼저, 인재를 알아보는 눈을 가져야 한다는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한다. 사람을 알아보는 안목이 인재경영의 기본이라는 것을 이야기한다. 첫 글로 진나라의 사불문(四不問)에서, 인재를 수용하기 위한 열린 정책의 힘을 엿볼 수 있었다. 인재를 등용함에 있어서 국적, 민족, 신분, 나이 등 네 가지를 따지지 않았던 진나라의 인재정책으로 인해, 진시황이 통일의 대업을 달성하는 반석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음으로 용인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한나라 고조 유방의 이야기인 오불여(吾不如: 나는 당신만 못하다)라는 이야기도 인상적이다. 한 고조 유방이 패권을 다툰 항우를 이기고, 천하재패를 할 수 있었는지로부터 용인의 정수를 하나 배울 수 있다. 그리고, ‘겸청즉명(兼聽則明)’에서 이야기하는 두루 들어야 밝아진다라는 지혜는 정말 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이 아닌가! 경청이라면 덕목은 인재를 알아보고, 그 인재를 올바로 쓰기 위해서 꼭 갖추어야 하는 덕목임을 알려주는 고전의 지혜다.

세번째, 중용을 이야기하는 인재를 어떻게 소중하게 쓸 것인가요 대한 지혜를 들려준다.
물극필반과 계영배의 이야기에서, 인재를 대함이 달리지지 않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배울 수 있다. 리더가 되어서 경계해야 할 것이 이전의 자신의 처지를 잊고 자만심으로 가득차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할때 리더에게 다시 겸양을 생각하게 해 줄 참모가 곁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생각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위임을 이야기하는 것에서는 오늘날 리더들이 팀원들에게 해야 할 임파워먼트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게 만든다.
신뢰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신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리더는 또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
이 책은 우리들에게 중국의 고전인 사마천의 <사기>, <삼국지>, <장자>, <정관정요>, <전국책>, <제갈량이> 등의 이야기를 우리들에게 들려 준다
.
익히 알고 있는 이야기도 있고,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고전 속의 이야기들을 통해서, 인재를 어떻게 알아보고,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하며, 그 인재를 믿고 중임을 맡길 것인가요 대한 생각을 해 보도록 이끈다. 그러하기에, 인재경영의 생각하는 조직의 리더들에게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