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서가는 조직은 왜 관계에 충실한가 - 성과를 내는 조직 문화의 비밀
랜디 로스 지음, 김정혜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3월
평점 :
직장 생활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바로 인간 관계이다. 그러하기에, 조직 내의 관계를 어떻게 잘 유지할 것인가는 경영에서
하나의 화두이다. 인재 경영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지금과 같은 시기에, 과연 성과를 내는 조직문화는 어떤지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이 책에서 살펴볼 수 있어 좋았다.
이 책은 우선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비즈니스의 목적이 돈을 버는 것이라는 상투적인 것이 아니며, 자신들이
대면하는 사람들의 삶에서 차이를 만드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관계는 성장의 촉매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을
이야기하기 위해 먼저 성숙이라는 주제어를 가져온다. 성숙을 이끄는 힘으로 자신인식, 자기지각과 진정성 그리고 겸손을 요구한다. 성숙이 관계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는 다음의 글로 저자는 이야기한다.
요컨대 성숙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얼마나 잘 맺는가를 토대로 측정된다.
이러하기에, 지금과
같이 초연결의 사회에서 우리는 관계의 경제학을 꼭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이 책 중간 중간에 리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면서, 리더의 필수품으로 신뢰를 이야기하기도 하고, 겸손이라는 덕목의 중요성도 이야기한다. 결국에는 서번트 리더십이라는
단어로 귀결되는 리더의 모습을 이 책에서는 이야기한다. 여태, 생각하던
겸손과는 다른 모습을 다음의 구절에서 읽을 수 있다.
겸손humility은
서번트 리더십과 가장 자주 연결되는 성격적 특성이다.
겸손의 핵심은 아무런 가식 없이 자신을 정직한 눈으로 바라보는
능력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책
제목처럼 앞서가는 조직,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 그 해답은 아마도 다음과 같이 간단한 것일 수도 있다..
건강한 관계는 성장의 촉매다. 그리고 피드백은 성장의 연료다.
이 책에는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는 방법들과 더불어, 리더가 어떻게 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들 수 있을 지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담겨 있다. 조직을 이끌어가는 리더의 한 사람으로서 앞으로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가야겠다는 다짐을 다시 한 번 하게 되었다. 그러하기에, 이 책은 읽으면서 많은 메모를 하게 만든다. 팀을 이끄는 팀장이나, 조직관리에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