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학계열 진로 로드맵 - 로봇과 공존하는 기술자 ㅣ 진로 로드맵
정유희.안계정.김채화 지음 / 미디어숲 / 2020년 2월
평점 :
현재 자라나는 아이들의 미래는 4차 산업 혁명이 활짝 핀 시기가 될 것 같다. 지금 4차 산업 혁명의 개화기에서 아이들이 어떤 생각으로 자신들의 진로를 결정해야 할까? 앞으로 어떤 직업이 각광받을까? 이러한 생각들을 많이 하게 되며, 아이와 함께 관련 뉴스나 다큐멘터리를 챙겨 보곤 한다. 하지만,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생각을 해 보면 막막하기 그지 없다.
그래서, 최근에 만난 <진로 로드맵 공학계열>은 이러한 막막함에 한줄기 빛을 내려준다. 단지 공학계열 진로만
알려주는 책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진로 로드맵은 다음과 같이 5가지
시리즈가 있다
l 공학계열
진로 로드맵(로봇과 공존하는 기술자)
l 의학 생명계열
진로 로드맵(AI의사와 공존하는 의사)
l 빅데이터경영, 사회계열 진로 로드맵(빅데이터로 조망하는 경영컨설턴트)
l AI언어 문화미디어계열 진로 로드맵(VR을 활용한 1인 방송 제작자)
l 교대 사대계열
진로로드맵(AI교사와 함께 교육하는 교사)
이렇듯
다가올 미래사회의 변화를 준비하는 진로 로드맵을 분야별로 알려주고 있다.
우리는
아이가 관심을 가지는 AI, 로봇공학에 대한 진로 로드맵 중에서 우선 로봇에 대한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이
책은 ‘기계로봇 자동차계열, 컴퓨터SW & 전기전자 계열, 스마트도시 건축계열’의 3가지 계열에 대해서 알려준다.
그런데, 책은 바로 공학이나 로봇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우선 이 책은 어떤 성향이 자신에게 맞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진로로드맵을 만들어 진로에 대하 목표를 세운 후 진로에 맞는 일관된 활동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공학계열 중에서도 어떤 분야를 관심을 가지고, 어떤 과목을 공부해야
할 지에 대한 부분도 알려주고 있어서 좋았다.
또한 대학의 관련학과와 졸업 후 진출분야까지 알려주고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런 다음에 창의적 체험활동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도 들려준다.또한 각 계열별 연계 도서와 동영상을 추천해주는 부분은 정말 유용할 것 같다.
이 책은 이러하듯 예비고 학생들이 앞으로 자신의 진로를 탐구하고 정하는데 있어서 무척이나 도움을 될 부분을 담고
있다. 책 전체를 보지 않더라고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그러하기에, 예비고등학생들에게 이번
방학에 꼭 읽고 고등학교에 진학하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