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탠퍼드는 명함을 돌리지 않는다 - 내가 좋아하는 사람만 만나도 일과 인생이 성공하는 핀포인트 인간관계 법칙
라이언 다케시타 지음, 정은희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12월
평점 :
사회생활을 하면서 제일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인간관계이다. 싫어도
같이 일해야 하는 상사 또는 업체의 담당자와의 관계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또는 영업이나 마케팅 분야에 근무하면서 다양한 인맥을 쌓기 위해서 많은 모임에 참여하면서 소진되는 시간과 에너지
또한 무시하기 힘든 것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이 책은 기존의 많은 사람과 안면을 트고 명함을 돌리는 옛날식 인맥 관리법을 이제는 과감히 버려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 이유로 지금 우리가 근무하는 일터가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다양한 사례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전과는 달리, 이제 우리 사회는 소통의 고속화, 워라벨 추구 등을 통해서 늦게까지 술자리를 하고, 모임을 하는 문화가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지금 이 책에서 저자가 이야기하는 핀포인트 인간관계를 통해서도 충분히 사회적으로 성장하고 업무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즐겁게 일하는 핀포인트 인간관계 법칙 3’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법칙 1. 이익보다 ‘호감’이라는
감정을 중시한다.
법칙 2. 좋은 사람을 만났다면 깊은 관계를 쌓는다.
법칙 3. 불편한 사람은 ‘지하철역 개찰구’로 여긴다.
위의 세가지 법칙이 어쩌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핵심을 모두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핀포인트 인간관계의 기본 원칙은 내가 진정으로 호감을 가진 소수의 사람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이기에 말이다.
저자
자신이 스탠퍼드를 다니면서 배운 핀포인트 인간관계 기술을 이야기하는 3장에서 다음의 구절이 나에게는
정말 인상적이었다.
인간관계라는 것은
결국 내가 어떤 사람을 좋아하는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관해 자신만의 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중략> 핀포인트 인간관계의 기술은 나를 중심에 두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핀포인트의
핵심 핀이 될 일곱 명을 찾으라고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이야기들 중에서 ‘스탠퍼드 교수가 알려주는 스몰토크 잘하는 법’은
아시아권의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그리고, 제일 마지막
장인 ‘핀포인트 인간관계로 영향력 있는 조직을 만드는 법’에서는
정말 실제로 조직을 구성할 때 필요한 지혜를 담고 있다. 특히나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기 위한 결정적
질문을 하라는 부분에서는 나만의 결정적 질문은 무엇일까? 하고 곰곰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채용을 염두에 둔 사람을 만났다면 아주 잠깐이라도 함께 걷는 시간을 갖기를 권하는 내용도 흥미로웠다.
핀포인트 인간관계는 끼리끼리 문화나 폐쇄적인 인간관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님을 저자는 맺음말에서 밝히고 있다. 책을 읽고 오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말이다.
저자처럼 내성적인 분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자신이 내성적이어서 인간관계를 잘 맺지 못해 사회생활이 힘들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더욱더 이 책을 통해 핀포인트
인간관계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이해하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