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 -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는 인생을 만나다 내 인생의 사서四書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절묘합니다. 사십대를 시작하는 시점에 신정근 교수의 <마흔,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을 접한 것 같다. 사실 그때는 사십이라는 나이의 무게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 제목을 따라서 말입니다. 그런데, 지금 오십을 바라보는 나이에 신정근 교수가 들려주고픈 이야기는 무엇일까하는 생각에 이 책을 선뜻 읽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신정근 교수는 오십에 만나야 할 것은 사서삼경 중에 중용이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책 제목 <오십, 중용이 필요한 시간>이라고 하는 것으로 말입니다.

사실, 오십의 나이에 들어서면 소위 꼰대가 되곤 합니다. 또는 ‘~라떼는 말야라는 유행어를 만드는 장본인이 되기도 하고 말입니다. 그래서, 정말 필요한 것이 중용이구나 하는 생각이 저절로 듭니다. 이 책은 그러한 면에서 오십을 바라보는 저와 같은 분들에게는 보약과도 같은 책인 것 같습니다. 한 쪽으로 치우치기 쉬운 나이, 오십에 자신의 중심을 찾아서 마음 수양을 하도록 이끄는 중용을 쉽게 만날 수 있도록 해 주니 말입니다.

 이 책은 크게 극단부터 포용까지 12개의 큰 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12개에는 각각 5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우리들에게 중용의 묘미를 밟혀 줍니다. 그리고, 각 키워드에 대해 입문에서 승당을 거쳐, 입실, 여언의 과정을 맛보도록 이끌어 줍니다. 이 부분은 중용의 원문만을 나열한 다른 중용 관련 서적과의 차별화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저는 이 책의 5중심: 마음 근육의 중심 잡기가 가장 인상적이었으며,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중용]의 제일 첫머리에 나오는 구절인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을 이야기하는 부분이었습니다. ‘하늘이 명령한 것은 사람의 본성이다라는 한자의 해석만을 기억하고 있던 저에게, 전체 문구를 읽고 어떤 뜻인지 조금 더 깊이 생각해 보게 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천명天命이라는 단어가 [서경], [시경]에도 자주 나오는 표현이지만, 그 의미까지는 같지 않다는 저자의 해석에 중용의 또 다른 묘미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중용에는 중용이 없다라고 하네요. 저도 책 이름만으로 봐서 중용에 관한 내용이 많이 나올 줄 알았는데 말입니다. 실제 중용에는 중용이라는 개념이 자주 쓰이지 않을 뿐 아니라 중용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풀이한 내용도 없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저자는 이를 살펴보기 위해 주희의 중용 풀이를 표제어로 삼아서 중용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고 우리들을 이끕니다. 참으로 두 글자에 지나지 않는 중용中庸에 이렇데 심오한 뜻이 담겨 있으며, 해석하는 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하듯, 이 책은 중용의 여러 문구를 원문으로 살펴봄과 동시에 다른 고전과 비교하고, 이를 또 현대의 삶과는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면서, 우리들에게 마음 중심을 잡는 것에 대해서 가만히 생각해 보도록 이끌어 줍니다.

2019년 한 해를 마감하며, 다가오는 2020년의 계획하면서, 우선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지고 싶은 분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또한 외부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마음을 잡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고전의 지혜가 무엇인지를 들려줄 수 있는 책으로도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