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머스트 리드 : 스타트업 기업가정신 ㅣ 하버드 머스트 리드
마크 안드레센 외 지음, 이주영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그 기업의 경영진을 보게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경영진의 기업가 정신을 어떻게 살펴봐야 하고, 무엇을 기준으로
해야 한단 말인가? 이러한 생각들에 대해서 조금이라나 힌트를 얻고자 한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이
책의 시작은 Lesson 01. 숨어있는 기업가형 인재를 찾아내는 법이다. 기업가형 리더를 찾고자 하는 인사담당자라면 이 장은 꼭 읽어봐야 할 것 같다.
기업가를 차별화하는 세 가지 요소로 ‘불확실성 속에서 성공하는 능력, 주인의식에 대한 열망, 뛰어난 설득 기술’을 들고 있다. 이러한 것을 생각하면서 기업가형 리더를 찾기 위해서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배울 수 있다.
그렇다면,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어떠한 인사이트를 주는 부분은 없는가? 이
책의 2장 매력적인 사업계획서 쓰는 법은 꼭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이
부분에서 ‘정확하고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것이 투자 성공의
밑걸음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며, 어떤 질문들을 해야 할 지를 살펴보게 해 준다.
스타트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외부투자에 대한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외부투자를 받아야만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은 ‘Lesson 05 외부 투자없이
스타트업을 키울 수 있을까?’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요거트
회사를 어떻게 외부 투자 없이 지금의 위치에 올려 놓았는지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가슴이 뛰었다. 셀프
파이낸싱울 통해서 성장한 초바니의 스토리는 꼭 외부 수혈을 해야만 한다는 선입견을 여지없이 부수어 주었다.
그리고, 스타트업을 했다면 성장을 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한 이야기에 대해
생각해 보고 싶다면 “Lesson 07: 블리츠스케일링 하라”를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블리스스케일링이란 Blitzrieg(기습공격이라는
독일어)와 Scale-up(기업확장)이 합쳐진 말로 ‘기습적 성장’이라는
뜻이다. 절멱에서 몸을 던져 떨어지는 동안 비행기를 조립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호프만의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을 통해서 스타트업 기업가 정신이란 어떤 것인지를 생각해보고, 스타트업을
창업해서 성장시키는 것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