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을 차리다 - 한반도 음식 문화사 작은 역사 3
주영하 글, 서영아 그림 / 보림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결혼을 하고 나서 밥상을 차린다는 것의 노고를 알게 되었다. 그까짓거, 그냥 대충~ 차려서 먹으면 돼지. 라고 생각했던 아가씨 때와는 달리, 매끼니 밥상을 차리는 것의 소소한 기쁨과, 때론 오늘은 어떻게 또 끼니를 때울까, 하는 아줌마 스러움의 극치를 보이는 고민아닌 고민도 하면서, 평생동안 나의 밥상을 차려주신 엄마에 대한 감사의 마음이 울컥울컥 올라올때가 많은 요즈음이다. 사실, 사먹는 밥은 매일 사먹으면 질리는데도, 집밥은 왜 그렇지 않는 걸까? 집밥을 준비하는 엄마들의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은 아닐까? 가족들이 먹는다는 생각을 하면, 나쁜것은 줄이고, 신경써서 만드는 것이 집밥이다.

그런 밥상. 메뉴. 그리고 더 깊이 들어가서 한반도의 음식 문화에 대한 그 모든것을 총망라해놓은 책이 여기에 있다. ​한국사 시간에 처음 배우는 인간이 도구를 사용하고, 농사를 짓는 것에서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김치와 장아찌를 만들게 된 계기와. 도구에 이르기까지 재미있는 사진들과 함께 깨알같이 설명해 놓았다.

 

 

아이가 있는 집이라면, 아이에게 우리가 이 한톨의 밥을 먹기까지 어떤 역사를 가지고 현재까지 왔는지, 엄마 또는 아빠와 함께 이 책을 읽고 공부한다면 더욱 즐거운 시간을 만들 수 있을것 같았다. 고구려 귀족들의 식탁은 어떠했는지, 조선의 임금은 어떤 밥상을 받았는지, 고추는 우리나라에 이렇게 들어왔어~ 라고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진다면, 아이의 교육에도 더없이 좋을 것이다. 나도 이 책을 통해서 내가 알지 못했던 먹거리에 대한 많은 새로운 것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금 우리가 현재 먹는 밥상의 소중함에 대해서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은 그런 한반도의 먹는 역사에 대해 알아보면서, 현재 우리의 밥상에 대해 다시금 깊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런 긴 문화를 가진 밥상이 우리는 바쁘다는 이유로 너무도 간편한 것들로 한끼를 때우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말이다. 나조차도 한끼를 배달음식으로 시켜 먹을때는 오늘은 이렇게 때우는구나~ 하고 편안해 했지 않은가 말이다. 인간은 요리하는 동물이다. 라고 이 책에서 강조하는 점도 그것이다. 조금은 귀찮더라도, 직접 김치를 담궈보고 또 밭에서 직접 무엇을 키워보는것은 어떨런지. 현재까지 이어온 음식의 문화에 대해서 다시금 또 생각해 보는 시간도 좋을 것 같다.

 

새삼 우리가 먹는 밥상의 소중함을 이 책을 통해서 느끼게 되었고, 한반도 음식 문화에 대한 소소한 것들을 알차게 배울수 있어서 좋았다. 조금은 우리의 먹거리, 그리고 밥상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다. 사람은 먹는 것의 즐거움이 살아가면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의 밥상, 한반도의 역사에 대해 이 책을 통해 알아보는 좋은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란다.


20세기 이전만 해도 가족은 먹을거리를 함께 생산하고 음식을 함께 나누는 공동체였습니다. 한솥밥을 나누며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음식도, 식성도, 전통도 이어졌어요. 전 세계의 가족들이 모두 그렇게 살았지요. 그러나 어느새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식품이 넘쳐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먹을거리를 기르고 만들고 먹을 사람, 그들이 사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 전통은 뒷전이 되었어요. 하지만 음식은 단순한 상품이 아닙니다.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