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0일 밤의 미술관 - 하루 1작품 내 방에서 즐기는 유럽 미술관 투어 ㅣ Collect 5
이용규 외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11월
평점 :

작금(昨今)의 현실은 우리나라는 3차 코로나 대유행이 코앞에 닥친 현실에서 우리나라보다 더 위험한 해외 여행은 사실상 불가하다는 점을 상기해볼때 90일 밤의 미술관은 5인의 미술관 도슨트가 유럽 각지의 미술관의 작품을 하루에 한개씩 소개해주는 형식이라고 하니 명화와 화가들에 대해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으며 간접적으로나마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사실 도슨트가 무슨 뜻일까? 하고 검색해보았는데 도슨트(Docent)는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에서 관람객들에게 전시물을 설명하는 안내인을 말한다고 하니 아무래도 명화에 무지하거나 보다 많은 정보를 알고 싶은 저같은 일반인들에게는 전문가 못지 않는 설명을 해줄수 있는 분이 아닌가 생각되네요.
책은 미술관 도슨트 5인의 이야기로 시작하고 있는데 차례를 살펴보니 영국,프랑스,네덜란드,스페인,독일 및 그 外 지역으로 나누어서 미술관을 분류하고 있으며 1日부터 90日까지 나누에서 소개한 점은 바쁜 현대인들일지라도 조금씩 시간을 할애할수 있다면 유럽 미술관들의 명작들을 감상할수 있지 않나 여겨졌으며 4백페이지가 조금 넘는 분량에 명화와 설명 및 감상 팁이 수록되어 있다는것을 전체적으로 훑어보며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으로 수록된 런던 내셔널 갤러리의 소장되어 있는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은 처음 접해보는 작품은 아닌데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은 후자의 특징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어 북유럽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p22
당시 이탈리아 회화와 달리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그린 그림이라는 점을 새롭게 인식할수 있었으며 유화를 사용하였기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며 그림을 그릴수 있었다는 점도 책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그림을 보면 볼수록 친숙한 느낌이 드는건 저만의 느낌이 아닐것 같네요.
페테르 파울 루벤스, <삼손과 데릴라> 작품의 배경이 된 사건이 16세기 심각한 위기의 교황청이 신자의 이탈을 막을려는 목적으로 미술작품을 이용하여 종교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당시 시대상을 이해할수 있었으며 작품설명을 통해 대비되는 이미지에 대한 설명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명작에 숨겨진 이면이라고 해야 하나? 화가가 의도하는 바를 알수 있다는 점은 작품을 보는 눈을 높여줄수 있지 않나 싶은데
얼마전에 유튜브로 셰익스피어 <햄릿>이란 작품 설명을 들을수 있었는데 그때 보여주던 그림이 <오필리아>였음을 책을 통해 확인할수 있었는데 비극적인 작품인만큼 오필리아의 죽음을 잘 표현한 작품이 아닌가 생각되었으며 학창 시절 배운 기억이 나는 화가 고흐의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의 감상팁을 통해 이 그림의 하일라이트를 확인할 수도 있었습니다.
파리 소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이라고 불리우는 다빈치, <모나리자>는 주인공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행복해보이는 그림인데 볼때마다 변하는 미소가 특징이라는 점도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럽의 지배자로 알고 있던 나폴레옹에 대한 다비드, <나폴레옹 1세의 대관식>을 통해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접할수 있었는데 특히 황후에게 나폴레옹이 관을 씌워주는 장면이 인상적인 장면이라 할수 있겠네요.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진주 귀고리 소녀>는 네덜란드에서 해외로 반출이 금지된 작품으로 알고 있는데 이 신비로운 소녀가 누군지 알수 없다는 점은 <모나리자>와 동일한 점이라 할수 있을것 같네요.

인간 역사에서 잊을만하면 한번씩 등장하는 펜데믹(pandemic)이 발생하는 원인이 몇가지 되는것으로 우연하게 알게 되었는데 피터르 브뤼헐, <죽음의 승리>는 중세 유럽의 흑사병을 주제로 그려진 그림인데 참혹한 현실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고 생각되네요. 당시는 의학기술이라고 말할수 없는 정도라는 점을 상기해볼때 전 유럽 인구의 1/3이 사망했다는 추정치도 무리가 아니라 싶었으며 펜데믹은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수 있다는 점을 우리는 항시 기억하고 대비하여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디에고 벨라스케스, <시녀들>의 작품의 주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화가인 벨라스케스만이 알수 있는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데 그림의 제목도 이후 정해진것이라고 하니 더욱 더 작품의 주제에 대한 궁금증을 만끽할수 있을꺼라 생각되었으며
파블로 피카소, <게르니카>는 재연프로그램에서 독일 공군의 폭격 능력 시험으로 인한것임을 알게 되었는데 한국전쟁의 참상도 고발한 작품으로 <한국에서의 학살>도 같이 감상해보며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지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네요.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전쟁, 하지만 우리가 다같이 공존하여야 할 지구에서 전쟁은 반드시 사라져야 할 소산(所産)이라 여겨지네요. 언제쯤 인류는 진정한 평화와 번영을 이룩할수 있을런지
다양한 작품들과 화가들을 새롭게 인식할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작품 하나하나마다 간결하지만 핵심적인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는 점이 무척 마음에 들었고 평소 궁금하였지만 알지 못했던 명화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 계기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