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성, 인종, 계급 ㅣ Philos Feminism 2
앤절라 Y. 데이비스 지음, 황성원 옮김, 정희진 해제 / arte(아르테) / 2022년 9월
평점 :
페미니즘이란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권리와 주체성을 확장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이론 및 운동을 말합니다. 페미니즘은 19세기에 들어서 전개되기 시작했으며, 시대와 그 양상에 따라 크게 1세대·2세대·3세대 물결로 나뉘어집니다. 1세대는 여성의 참정권 인정을, 2세대는 사회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평등과 성적해방추구를, 3세대는 이전 페미니즘이 백인여성들의 전유물이었다는 비판에서 출발하여 페미니즘을 계급, 인종문제로 확대하였습니다.
흑인 여성주의를 의미하는 블랙 페미니즘은 성차별, 계급 억압, 젠더 정체성, 인종차별이 불가분하게 묶여 있다고 주장하는 학파입니다. 앞에서 열거한 개념들이 교차하며 서로를 강화하는 것을 상호교차성이라고 불리우는데, 흑인 여성의 경험은 이 상호교차성을 고려할 때 이해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흑인 여성이 겪는 경험은 흑인이라는 측면과 여성이라는 측면을 따로 분리하여서는 이해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둘은 서로를 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블랙 페미니즘 지지자들은 흑인 여성들이 백인 여성과는 권력 구조 내에서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화이트 페미니스트는 상호교차성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 페미니스트를 비판하기 위해 등장한 용어입니다.
아르테에서 출간된 ‘여성, 인종, 계급’은 상호교차성과 관련된 내용을 글로 서술한 초기 저작중 하나입니다. 기존 페미니즘은 ‘백인 중산층 이성애자 고학력 비장애인 젊은 여성’의 경험을 기반으로 합니다. 다시말하면 남성우월주의에 대항해서 권리를 신장하여야 할 여성은 앞에서 말한 여성입니다. 보호받아야 할 여성을 정의함에 있어서 백인라는 인종, 중산층이라는 계급, 그리고 그 속에서도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이성애자, 고학력, 비장애인 젊은 여성이라고 정의한 것은 이 정의에 포함되지 않은 여성에 대한 가혹한 폭력이고,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규정하는 것은 권력입니다. 그래서 이 책의 해제를 쓰신 정희진 교수님은 이렇게 말 합니다. “페미니즘이 다루는 젠더는 여성과 남성 간의 차이가 아니다.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의 개념을 규정하는 권력을 질문하고 추적한다. ”
아울러 위 여성의 정의로부터 우리는 ‘여성, 인종, 계급’이라는 책이 언제가는 필연적으로 저술 되어야 할 책이었다는 것도 인식하게 됩니다.
이 책은 역사책입니다. 장소는 미국이고, 대상은 흑인여성입니다.
미국 흑인여성에 대해 쓴 역사책입니다.
이 책에서 초창기 흑인 여성들의 삶을 본다면, 우리가 생각없이 모든 여성을 구별없이 지칭하는 ‘여성’이라는 말이 이들에게는 또 다른 폭력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인간으로 대우 받지 못했던 그들의 비참한 상황을 글을 통해 목도 하면서, 모든 여성의 차이를 두지 않고 단순히 ‘여성’이라고만 하면서 그들의 권리 신장을 외치는 것이 모든 여성을 위한 것이 아니었음을 절실히 깨닫게 됩니다.
이 책을 읽고 블랙페미니즘의 주장처럼 흑인여성의 존재방식이 백인 여성의 존재방식과 다르다는 것에 공감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