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까발린 영화감독 세르조 레오네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시절 아버지와 함께 주말이 되면 서부극 영화를 본 기억이 납니다.

당시 서부극의 단골 주인공은 존웨인이 이었습니다. 존웨인은 악당을 물리치는 정의의 총잡이로서 존웨인이 멋지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백인들을 괴롭히는 인디언들을 물리치는 존웨인은 영웅이고 인디언들은 백인을 괴롭히는 악당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어른이 되어 미국의 역사를 알고 난후 악당은 인디언이 아니라 백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디언들의 땅을 무력으로 빼앗은 것이라는 것을 나중에야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서부영화라고 하면 떠오르는 인물은 존웨인도 있지만 크린트이스트우드도 떠올릴 수있을 것입니다. 크린트 이스트우드가 등장하는 서부영화의 대부분은 세르조 레오네라는 이탈리아인 영화 감독입니다. 아리러니 하게도 세르조 레오네라는 크린트이스트우드를 주연으로한 여러편의 영화을 제작하였지만, 정작 그는 가장 미국적인 영화를 미국이 아닌 자신의 조국인 이탈리아에서 제작하였다는 것입니다.



그가 너무나 미국적인 영화를 미국이 아닌 이탈리아에서 제작한 이유는, 그의 서부영화가 단순 오락영화가 아니라 미국의 현실을 드러내기 위한 영화였기 때문입니다.

그는 헤밍웨이 작품등을 통하여 접한 미국을 그리며, 미국은 세계2차대전이후 세계를 선도하는 이상적인 나라로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2차세계대전중 군국주의로 치닫는 이탈리아의 정치와 달리 유대인을 돕는 아버지를 보고 히틀러와 무솔리니를 혐오하고 헤밍웨이의 소설등을 통해 미국을 동경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탈리아를 점령한 미군도 군국주의 정권과 다를 바 없음을 깨닫고는 미국에 대한 기존 환상은 부서지게 됩니다.



이러한 것이 그의 작품의 특징인 서부영화를 통해 미국의 폭력성을 드러내고자 했던 것에 주요한 영향이 됩니다. 미국의 폭력성을 까발린다는 것은 폭력을 싫어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평화를 숭상하는 그의 아나키스트적인 성향이 드러난 것입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전쟁이 끝나자 많은 이탈리아인처럼 나도 꿈이나 환상을 가졌다. 혁명을 믿기도 했다• 실제로는 무리 라도 머릿속에서는. 부가 평등하게 분배되는 더욱 인도적인 사회를 꿈꾸었다. 나는 역사를 좋아했고 그 속에 있는 진보의 명확한 호름을 따르 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내 아버지는 파시즘과 싸웠고 감독 노동조합을 만들었다• 나는 사회주의를 신봉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니 말이다.



나는 환멸을 느낀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다. 그러 나 나에게는 양심이 있어서 온건한 아나키스트이고, 폭탄을 던지는 짓은 하지 않는다• 즉 나는 인생 에서 있을 수 있는 모든 허위를 경험해왔다. 그러면 마지막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가족이다• 그것이 나의 궁극적인 원형이다. 선사 이래 우리가 계속해 받 아은 것이다, 그 밖에? 우정, 그리고 그쁜이다. 나는 타고난 비관주의자이다. 존 포드 영화에서 사람 들은 희망을 품고 창밖을 바라본다. 나는 창을 여 는 것조차 두려워하는 인간을 묘사한다. 만일 그 들이 창을 연다고 해도 결과적으로 그들은 총탄을 맞게 된다. 정치가 나의 영화에 부재한 적은 한 번 도 없다. 그리고 영화 속에서는 아나키스트들이야 말로 성실한 인간이다. 나는 그들의 일이라면 잘 이해한다. 왜냐하면 내 생각은 그들과 같기 때문이다.”

이책은 박홍규 교수님의 다른 책처럼 아나키스즈에 관한 연작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