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논리학 하이데거 전집 38
마르틴 하이데거 지음, 김재철.송현아 옮김 / 파라아카데미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이데거는 독일의 실존주의 철학자이자,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저술한 저명한 정치철학자 한나아렌트의 연인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대표저서는 존재와 시간입니다. ‘존재와 시간은 철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저술이지만, 그 어떤 철학책 못지않게 난해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러한 이유는 많은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면서, 그에 기반해서 논의를 전개시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번에 파라아카데미에서 출간된 언어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논리학은 하이데거가 논리학의 본래적인 사명을 말하기 위해 언어의 본질에 대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이에 대하여 하이데거는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는 왜 언어의 본질에 대해 묻는가?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리 현존재가 염려즉 규정에 대한 염려로서 그 규정을 일깨우고 떠맡아 보존하는 염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염려가 자유의 염려로서 모든 존재자의 본질을 위한 앎과 앎의 가능성에 대한 염려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앎은 우리에게 단순한 사실에 대한 피상적인 지식도 아니며 모든 것에 대해 생각 없이 떠드는 잡담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앓은 책임을 떠맡는 말을 통해서만, 다시 말해 역사적인 노동속에서 창조하는 언어에서 생겨난 견고성을 통해서만 정초되고 형성되며 전승되고 일깨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왜 언어의 본질에 대한 물음을 논리학이라고 부르는가?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논리는 로고스를 다루고, ‘로고스가 이야기, 즉 언어를 의미하고방금 그렇게 언급한 논리학을 통해서 이야기의 본질이 성급하게 평이하게 피상적인 것으로 오해되었다. 그 때문에 논리학은 아직도 파악되지 않은 인간적이고 역사적인 현존재의 임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고의 규칙에 관한 학설로서 지금까지의 논리학이 존재의 모든 규정을 위한 최상의 중요한 규칙으로 여겨지기를 요구하고 있다. 그 때문에 그 요구는 언어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개념에서부터 더 근원적으로 파악되고지체 없이 갱신되어야 한다. 논리학은 우리에게 개인이 하릇밤 사이에 완성하여 교본으로 시장에 내어놓을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논리학은 결코 논리학을 위한 것이 아니다. 논리학의 물음은 세계의 지배가 언어에서 사건으로 일어남으로써 존재가 힘을 갖는 존재자의 존재에 대한 앎의 염려로서 생겨난다.”

 

논리학에 대한 기존의 관념은 언어의 규칙정도로 생각하였습니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논리학이 더 근원적으로 파악되어 인식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철학에 약간 관심이 있어서 철학개론서를 몇권 읽어 본 적이 있습니다. 철학이 발전해 온 과정을 보면서 흥미롭고 재미있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니체의 매력에 빠져 그의 저서를 서너권 읽어본 적이 있습니다. 니체의 저서는 철학이면서 재미있기도 하여 다른 철학자들에게 관심을 가졌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철학개론서에서 하이데거의 철학은 어렵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어서, 하이데거의 철학에는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연히 하이데거의 저서 근거율을 읽을 기회가 있어서 읽어 보았는데, 예전에 철학개론서에서 말한 대로 어렵다는 것을 실감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책 언어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논리학역시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읽기에는 난해 하였습니다. 하지만 깨달은 바도 있었습니다. 하이데거가 논리학이라는 것에서 출발하여 민족이라는 개념에까지 사고를 확장하는 것을 보면서 철학자의 사유는 깊고도 깊다는 것을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