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 어쩌다 자본주의가 여기까지 온 걸까?
데이비드 하비 지음, 강윤혜 옮김 / 선순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

 

자본론은 마르크스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이 책이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책이 소중한 까닭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제시한 사회체제 때문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인 그의 통찰력 때문입니다. “자본론19세기 산업자본주의가 가장 발달한 나라인 영국에서 씌어졌습니다. 마르크스는 그곳에서 자유라는 미명으로 행해지는 자유롭지 않은 노동자의 삶을 목격하는 등 자본주의의 모순을 생생하게 볼 수 있었고, 그러한 상황에서 저술한 자본론이야 말로 어떠한 책 보다가도 자본주의 모순을 가장 잘 드러내는 저작이기 때문입니다.

 

마르크스가 제시한 공산주의를 최초로 실현한 레닌이 세운 소련이 붕괴하고, 중국 역시 자본주의경제 요소를 일정 부분 받아들이면서 그가 대안으로 제시한 순수한 공산주의체제가 실패하였음이 확인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가 지적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은 오늘날 자본주의에서도 유효합니다. 그리고 그의 통찰력으로 인해 자본주의는 수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번창하게 됩니다.

 

자본주의 덕분에 지금 우리는 인류의 역사에서 물자가 가장 풍부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본주의는 지금까지 나타난 경제체제중 가장 효율적인 제도인 것은 확실하지만, 완전한 제도는 아닙니다.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것은 아직도 마르크스의 통찰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자본주의의 핵심은 소비입니다.

끊임없는 소비가 자본주의가 유지되도록 하는 비결인데, 그 결과 사람들은 항상 불만족하게 되고 우리를 둘러싼 환경 역시 나날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기업은 사람들이 현재 상태에 불만을 가지도록 끊임없는 광고를 하고, 그들의 의도대로 우리는 현재상태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게 됩니다.

그리고 유행에 뒤쳐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우리는 결국 유행을 추구하는 경쟁속으로 뛰어들게 됩니다.

 

끊임 없는 불만족과 두려움, 경쟁으로 인해, 우리의 노동 역시 끝이 없게 되었습니다.

 

우리의 욕망은 끝없이 커지기만 할 뿐 줄어들기 어려워서, 일을 하면 할수록, 돈을 더 많이 벌수록 우리는 계속해서 가난 하다고 느낄뿐입니다.

이전보다 물질적으로 훨씬 풍요로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전보다 훨씬 바빠졌고, 일하는 시간은 더 늘어났습니다.

 

소비와 노동의 끝없는 순환. 그리고 이제는 전 지구의 생명체를 위협하는 환경파괴까지 걱정해야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출판사 선순환에서 출간된 자본주의는 당연하지 않다는 우리가 당면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에 대하여 마르크스 이론가인 데이비드 하비가 저술한 책입니다.

그는 마르크스의 눈을 통해 현재 자본주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체제 모델을 성립하기 위한 집단적 형태의 행동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책을 통해 피상적으로 알고 만있던 신자유주의문제점을 좀더 깊이 알게 되었습니다.

신자유주의가 대두헤된 배경과 목적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어느때 보다가도 부와 권력이 극소수 계층에 집중됨으로써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양극화가 심화 되었다는 문제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책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이론으로 현상황을 분석하기 때문에 자본론에 대하여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끝으로 이 책에서 공감가는 구절이 있어 옮겨 보려합니다.

진정으로 우리는 국가의 부를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 돈의 총량과 누군가가 좌지우지하는 나머지 것들을 기준으로 국가의 부를 이해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진정으로 부유한 국가는 노동시간이 하루에 12시간이 아니라 6시간인 곳이다. 부란 잉여노동시간을 좌지우지하는 데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각 개인이 직접적인 생산에 필요한 시간 외에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 데서 생기는 것이다. ,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어 어떤 제안도 없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자유시간의 양으로 측정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저자는 위와 같은 말을 하면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친 결과 폐쇄와 경제붕괴상황하에서, 아이러니 하게도 코로나 이전에 비하여 개인의 자유시간이 늘어났음을 지적합니다.

그리고 지금이야 말로 집단적인 형태의 행동을 통해 대안 사회의 모습을 곰곰이 생각해 볼 때라고 강조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