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 블록체인부터 죽음까지, 그림 인문학
임상빈 지음 / 박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

 

예술가의 특징중 하나는 일반인들이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능력일 것입니다.

가령 우리가 매일 보며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하며 지나치는 일상의 평범한 것 속에서도 예술가는 아름다움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보며 지나치는 집 앞 개울물을 보고 개울물이 우리 앞에 오기까지 험난했던 여정을 묘사할 수 있으며, 일상의 가정주부가 아침에 집안 청소를 하고 난후 잠시 쉬며 차를 마시는 장면에서 아름다움을 포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우리가 성가시다고 여기는 안개를 보고 아름다움을 포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바로 예술가입니다.

 

예술가는 아름다움이란 궁전 같은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주변에도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자극합니다.

평범함 속에서 매일 새로운 눈으로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풍요로워 질까요.

예술가의 눈은 매일보아서 익숙해서 그냥 지나쳤던 것을 낯설게 만듭니다.

 

박영사에서 출간된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는 예술가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 것을 적은 글입니다.

이 책의 저자는 예술가입니다.  서울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대학원 회화와 판화과를 졸업한 후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에서 미술과 미술교육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그는 예술가로서의 독특한 시선으로 사회의 여러분야를 해석합니다.

기술분야에서는 4차산업의 핵심기술들인 블록체인, 딥러닝, 인공지능등 , 과학분야에서는 지동설, 만유인력법칙, 상대성이론, 양자이론등, 예술분야,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람에 관하여는 행복, 죽음, 사랑, 욕망등을 예술가의 시선으로 관찰합니다.

 

저자는 책에서 뛰어난 예술가의 특성을 얘기하는데 이렇습니다.

뛰어난 예술가의 특성중 하나가 바로 겉으로 보기에는 달라 보이는 현상에 미혹되지 않고, 그 이면의 공통점을 발견하는 능력, 곧 ‘창의적 통합력’이다. 그리고 같아 보이는 현상에 미혹되지 않고 이면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창의적분화력’은 예술가의 또 다른 특성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창의성’이라는 것이 결국 일반인들이 포착하기 어려운 것을 보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기술, 과학, 예술, 사람에 관한 지식과 아울러 예술가로서의 창의적인 사고를 보여줍니다.

 

이책 ‘예술가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기’를 읽으므로써, 예술가가 우리에게 제공하는 시선을 만나 볼 것을 권합니다.

그러면 삶이 더욱 풍요로워 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끝으로 이 책과 관련은 없지만, 예술이라고 하니 어디선가 읽은 구절이 생각납니다.

“삶은 근본적으로 혼돈이며, 예술을 제외하면 질서를 창조하려는 모든 시도는 우리의 삶의 조건에 대한 부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