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칸트인가

 

칸트는 독일의 철학자로서, 서양철학사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철학자 다섯명을 꼽으라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헤겔 그리고 칸트를 꼽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중에서도 단 한명을 꼽으라면, 칸트는 플라톤과 경쟁하면서 정상을 다툴 것이라고 합니다.

서양철학은 칸트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합니다.

칸트는 서양철학에서 가히 혁명이라 할 만한 변화를 일으키는데,

과학사에서 코페르니쿠스가 기존 과학을 전도시켰다면, 철학사에서 코페르니쿠스는 바로 칸트라는 것입니다. .

 

칸트가 저술한 그의 불후의 명저인 3비판서 모두 기존 철학을 전도시키는 영향력을 미쳤습니다. 칸트의 3대 비판서는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입니다.

 

첫 번째로, 순수이성비판을 통해서는 이론적 지식의 객관성을 따질 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였고, 자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은 어떻게 가능한지를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두 번째, 실천이성비판은 이를 통해 실천적 행동의 도덕성을 문제 삼을 때의 근거를 밝히고, 보편적 타당성을 지닌 도덕적 행위는 어떻게 가능 한지 여부를 탐구하였습니다. 실천이성비판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정언명령이 나옵니다. 마지막 세 번째로, 판단력비판을 저술 함으로써 예술적 창작의 심미적 가치를 판정할 때의 원리를 차례대로 해명하고자 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심미적 판단이 과학적 지식만큼 보편성을 띨 수 있는 이유는 어디에 있는지를 사색하였습니다.

 

칸트이후부터 지금까지 서양철학은 칸트의 영향력 아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특정한 사람만 가지는 속성이었던 ‘존엄성’을 모든 인간이 가지는 속성임을 밝힌 철학자가 바로 칸트입니다. 그가 인간이 존엄하다고 한 이유만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칸트가 인간이 존엄한 존재라고 한 이유는 유일하게 인간만이 자연계에 살면서도 자연의 법칙을 거스를 수 있는 능력 때문입니다. 자연의 법칙이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이 가진 본능을 의미하는데 인간은 이성을 이용해서 본능과 반대 되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유일한 생물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인간은 배가고파도 밥을 먹지 않을 수 있고, 편함을 선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난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할 수도 있습니다. 즉, 칸트가 말한 정언명령에 따라 자신이 정한 규칙대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은 존엄한 존재입니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본능과 이성중 본능 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타고 태어났기 때문에 매순간 자신에게 명령을 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본능 쪽으로 미끄러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칸트는 인간이 스스로 지켜야할 규칙을 정언‘명령’라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정언’이란 자연법칙과 같이 어떠한 예외도 없는 보편적 법칙임을 의미합니다. 이와 반대개념인 가언명령을 보면 그 의미가 명확해 지는데, 가언이란 조건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그 반대인 정언이란 조건이 없음. 즉 예외가 없음을 의미 한다 하겠습니다.​

 

칸트가 말한 정언명령의 원칙은 사안마다 다르지만, 정언명령이 되기 위해서는 대체로 다음 두가지 요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첫째 당신의 준칙을 보편화 하라.

이는 내가 정한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되어야 한다고 바랄 수 있는 준칙이어야 한다는 겁니다. 두 번째 인간을 목적으로 대하라

이는 인간을 수단으로 대우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칸트의 철학은 현재에도 철학뿐만 아니라 우리의 법과 제도에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습니다. 칸트의 이런 영향력 때문에 칸트의 대표저서인 3대비판서를 읽고 싶어도 책이 어려워 엄두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책 김상환교수가 지은 ‘왜칸트인가’를 선택하는 것은 철학전공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칸트를 이해하는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3대비판서에 대한 핵심과 철학사에 미친 영향을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칸트에대해 알고 싶다면 이 책으로 시작하는 것도 훌륭한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