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구에 핀 꽃 아시아 문학선 21
이대환 지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구에 핀 꽃

 

인간은 자유롭게 살 수없는가?

하고싶은대로, 추구하는 대로 살수는 없는가.

 

이대환 장편소설 총구에 핀 꽃은 제목에서도 알수 있다시피 폭력을 거부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한 인간의 이야기 이다. 그리고 자신이 추구하는 바를 실현하기 위해 자신을 둘러싼 현실에 저항한 한 인간의 이야기 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한 영화가 떠올랐다.

'빠삐용'이 바로 그 영화이다. 부제는 '자유를 향한 위대한 탈출'이다.

영화 빠피용은 끊임 없이 자유를 갈망하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이다.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자유를 추구하는 한 인간의 이야기.

 

빠삐용이 여러번의 탈출 실패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자유를 얻기위해 탈출을 감행하는 인간에 대한 일반적, 추상적 이야기라면,

소설 총구에핀 꽃은 빠삐용의 메시지를 한 인간에 적용시킨 구체적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전쟁고아가 미국으로 입양갔다가 베트남전에 참전하고, 이후 스웨덴에 정착하여 백인 여자와 결혼한후 아이가 태어난다. 이 아이가 커서 아버지에 삶에 대해 회고 하면서 소설은 시작된다.

 

이소설의 주인공은 바로 아이의 아버지이다. 그의 이름은 손진호, 윌리엄, 요나손이다. 그의 이름을 통해 알수 있듯이 그는 여러나라에서 생활하였음을 알 수있다.

주인공은 가는 곳마다 자기를 둘러싼 상황과 갈등한다.

상황이 주인공에게 하길 원하는 것과 주인공인 바라는 이상과는 항상 괴리가 있다.

그러나 주인공은 그때마다 상황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는다.

 

주변의 강요와 주인공의 이상과의 갈등 이 최고조에 이른 것은 베트남전이다.

주인공은 인간을 죽이기 싫지만 국가는 그가 인간을 죽이도록 강요한다.

인간을 죽이는 것이 그의 의무라고 한다.

전쟁고아인 주인공이 또다른 전쟁고아를 양산하는 일을 하다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내가 개인으로 돌아가면, 나는 죽이는 의무에서 벗어나루 수있다. 어떻게? 어떻게 나는 국가를 버리고 죽이는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하얀 꽃으로 총구마저 막았건만.....(167P)

왜 죽여야하는가?

국가가 그에게 그러한 의무를 부여할 수 있는가?

국가가 추구하는 것과 개인이 추구하는 것의 우열을 가릴 수 있을 까?

개인의 이상과 국가가 개인에게 바라는 것이 정 반대의 것이라면 개인은 어떻게 하여야 하나?

 

주인공에게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옭아 매는 주체였다.

개인의 양심의 자유를 옭아매는 .

그래서 그는 자유를 위해 탈출을 감행한다. 빠삐용이 자유를 위해 절벽에서 뛰어 내린 것과 같은 의미로 그는 국가을 버리기로 한다.

자유를 향하여.

 

"몸을 깨끗이 씻고 사복을 주워 입는 병사의 정신은 이미 단단한 덩어리로 굳어 있었다. 적을 죽여서 나의 죽음을 면하는, 적을 죽여서 내가 살아야 하는 , 자신을 쇠사슬처럼 옭아맨 '죽이는 의무'를 자신의 손으로 벗겨서 멀리 팽개치겠다는 확고한 결의 였다"(17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