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단어들이 층층으로 들어가 있는 이 주소는 무슨 연도나 기도문 같은 느낌을 주지 않소?
[프라하, 1920년 8월 31일]
화요일
프란츠 카프카, <밀레나에게 쓴 편지>
비둘기의 집을 본 적 없다. 비둘기가 자는 일도 본 적 없다. 그러나 비둘기는 출퇴근길을 같은 방향으로 함께 걸었으며, 보도블럭이 끝나고 다리가 시작되는 곡률을 함께 돌아서 또 걸었으며, 내 발목치에서 머리와 발을 분주히 놀리는 그들을 지난 적은 많다. 내가 기억하는 바, 비둘기는 걷는 존재였다. 나 역시 비둘기에게 그럴 것이다. 비둘기가 나의 잠을 모르듯 나 또한 그들의 잠을 알지 못했다. 저 많은 비둘기들은 어디서 잠을 자나.
신호가 제법 길었다. 평소처럼 다니는 길이었으나 그날은 유독 횡단보도 건너편을 꽤 오래 바라보았다. 별 관심없던 낡은, 4층짜리 건물이다. 1층에야 작은 가게들이 제법 활기를 띄며 있지마는 역 출구에 가까운 2층을 제외하고는 조용한 3층 사무실로, 4층의 중국 식료품점으로 사용되는 건물이었다. 가로등이 죽죽 건물 앞을 무슨 문양처럼 긋고 있었고 해가 저물기 시작했다. 빛이 조금씩 접히고 있다. 오래된 건물은 간판에서 엿볼 수 있다. 가로의 문늬로 빛나는 네온은 연식이 있다. 그 빛나는 간판 아래는 바깥으로 돌출된 구옥의 창문이다. 그때 눈에 띈 것은 뭐였을까. 이제까지 보지 못했던, 그러나 틀림없이 간판 위를 걸어다니는 동그란 것들, 비둘기였다. 십수마리의 비둘기가 간판의 어깨를 밟으며 종종거렸다. 바깥으로 내 천장이 있는 창문에서 비둘기는 둥글게 앉아있었다. 그것이, 비둘이의 집이었다.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비둘기의 잠. 도시의 비둘기는 후미진 건물의 모퉁이에서 잔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마다 새소리가 들렸다. 내가 사는 집 역시 구옥으로, 베란다를 닮은 창문이 바깥을 향해 있고 안쪽으로 얼마간의 공간을 확보한다. 새소리라 함은, 혹시 청량한 아침을 생각하는지. 아니라 한 번 가다듬기 시작하면 구우-구우-구우 하는 것을 15회에서 20회까지 지속하는 굉장히 퉁명스러운 소리였다. 한 번 울기 시작하면 그것은 30초 이상 지속되고, 그 구우-구우-구우하는 소리는 사람으로 치자면 불만스러우며 불편하고, 누가 뭐라고 중간에 제지해도 그만둘 생각이 없는 톤이었다. 그것은 습관으로 만들어졌다. 오래도록 그 소리에만 단련된 성대였다. 그게 뭐라고 성대라는 말에서 잠깐 슬퍼졌고, 아니 습관이라는 말에서도 잠시 그랬고, 방충망에 걸린 십수개의 깃털을 바라보았다. 아침 저녁 비둘기와 같이 걸었던 나는 어느덧 한 집에서 살게 된 것이다. 후미진 건물의 모퉁이.
불평하려고 적은 것은 아니지만 이런 비둘기의 구구스러움과 이 책의 주절거림이 대체로 닮았다. 이 책은 갈증이 난다. 짜증을 완곡히 표현하려고 했는데 틀켰나. 그런 목소리로 단련된 문장이다. 습관으로 만들어진 톤. 카프카는 밀레나에게 편지를 엄청나게 보냈다. 거의 매일, 거의 똑같은 도입부, 오늘은 편지가 안왔소, 무슨 일이오? 편지를 제 때 보내주시오..제에발...혹은 편지가 잘 도착했소. 그리고는 이 두꺼운 편지집에서 오십 몇장에 하나씩 접어둘만한 문장이 나온다. 이따금씩 나오는 저런 문장을 보며 내가 책을 읽는구나. 한다. 비둘기의 이 구구구 소리는 짝을 찾기 위해 내는 거라고 한다. 그렇다면 더욱 닮았다. 구구하는 비둘기 소리가 퉁명스러운 소리인 건 그 소리만 연습한 성대가 있기 때문이다. 카프카 역시 자신만의 구구절절을 이렇게 많이 썼다. 그런 근육을 키우는 가운데, 잘 단련된 울대에서 이따금씩 적어둘 만한 말이 나온다. 주소를 보고 연도나 기도문을 생각한다니. 이 단순하고 천진한 인상이 이렇게 아름다울 일인가. 이걸 받아본 이는 역시, 하고 빙긋 웃었겠지. 도시의 비둘기는 어디에서 자나. 비둘기는 우리집 창문 구석에 와 잔다. 산다. 퉁명스럽게 우는 비둘기. 날개와 다리와 눈은 비둘기를 이루는, 다른 습성으로 맺음했다. 그리고 부리는 비둘기의 그런 소리를 내도록 셀 수 없는 시간동안 내어졌다. 비둘기 소리의 문법. 내 손가락은 쉼표와 마침표를 어떻게 맺나. 나는 얼마나 한 자리에 앉아서 타자를 두드리나. 이제 그걸 알아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