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단어들이 층층으로 들어가 있는 이 주소는 무슨 연도나 기도문 같은 느낌을 주지 않소?

 

[프라하, 1920년 8월 31]

화요일

 

프란츠 카프카, <밀레나에게 쓴 편지>

 

 




비둘기의 집을 본 적 없다비둘기가 자는 일도 본 적 없다그러나 비둘기는 출퇴근길을 같은 방향으로 함께 걸었으며보도블럭이 끝나고 다리가 시작되는 곡률을 함께 돌아서 또 걸었으며내 발목치에서 머리와 발을 분주히 놀리는 그들을 지난 적은 많다내가 기억하는 바비둘기는 걷는 존재였다나 역시 비둘기에게 그럴 것이다비둘기가 나의 잠을 모르듯 나 또한 그들의 잠을 알지 못했다저 많은 비둘기들은 어디서 잠을 자나.

 

신호가 제법 길었다평소처럼 다니는 길이었으나 그날은 유독 횡단보도 건너편을 꽤 오래 바라보았다별 관심없던 낡은, 4층짜리 건물이다. 1층에야 작은 가게들이 제법 활기를 띄며 있지마는 역 출구에 가까운 2층을 제외하고는 조용한 3층 사무실로, 4층의 중국 식료품점으로 사용되는 건물이었다가로등이 죽죽 건물 앞을 무슨 문양처럼 긋고 있었고 해가 저물기 시작했다빛이 조금씩 접히고 있다오래된 건물은 간판에서 엿볼 수 있다가로의 문늬로 빛나는 네온은 연식이 있다그 빛나는 간판 아래는 바깥으로 돌출된 구옥의 창문이다그때 눈에 띈 것은 뭐였을까이제까지 보지 못했던그러나 틀림없이 간판 위를 걸어다니는 동그란 것들비둘기였다십수마리의 비둘기가 간판의 어깨를 밟으며 종종거렸다바깥으로 내 천장이 있는 창문에서 비둘기는 둥글게 앉아있었다그것이비둘이의 집이었다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비둘기의 잠도시의 비둘기는 후미진 건물의 모퉁이에서 잔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마다 새소리가 들렸다내가 사는 집 역시 구옥으로베란다를 닮은 창문이 바깥을 향해 있고 안쪽으로 얼마간의 공간을 확보한다. 새소리라 함은, 혹시 청량한 아침을 생각하는지. 아니라 한 번 가다듬기 시작하면 구우-구우-구우 하는 것을 15회에서 20회까지 지속하는 굉장히 퉁명스러운 소리였다한 번 울기 시작하면 그것은 30초 이상 지속되고그 구우-구우-구우하는 소리는 사람으로 치자면 불만스러우며 불편하고누가 뭐라고 중간에 제지해도 그만둘 생각이 없는 톤이었다그것은 습관으로 만들어졌다오래도록 그 소리에만 단련된 성대였다그게 뭐라고 성대라는 말에서 잠깐 슬퍼졌고아니 습관이라는 말에서도 잠시 그랬고방충망에 걸린 십수개의 깃털을 바라보았다아침 저녁 비둘기와 같이 걸었던 나는 어느덧 한 집에서 살게 된 것이다후미진 건물의 모퉁이.

 

불평하려고 적은 것은 아니지만 이런 비둘기의 구구스러움과 이 책의 주절거림이 대체로 닮았다이 책은 갈증이 난다짜증을 완곡히 표현하려고 했는데 틀켰나그런 목소리로 단련된 문장이다습관으로 만들어진 톤카프카는 밀레나에게 편지를 엄청나게 보냈다거의 매일, 거의 똑같은 도입부오늘은 편지가 안왔소무슨 일이오편지를 제 때 보내주시오..제에발...혹은 편지가 잘 도착했소. 그리고는 이 두꺼운 편지집에서 오십 몇장에 하나씩 접어둘만한 문장이 나온다이따금씩 나오는 저런 문장을 보며 내가 책을 읽는구나한다비둘기의 이 구구구 소리는 짝을 찾기 위해 내는 거라고 한다그렇다면 더욱 닮았다. 구구하는 비둘기 소리가 퉁명스러운 소리인 건 그 소리만 연습한 성대가 있기 때문이다. 카프카 역시 자신만의 구구절절을 이렇게 많이 썼다. 그런 근육을 키우는 가운데, 잘 단련된 울대에서 이따금씩 적어둘 만한 말이 나온다. 주소를 보고 연도나 기도문을 생각한다니. 이 단순하고 천진한 인상이 이렇게 아름다울 일인가. 이걸 받아본 이는 역시, 하고 빙긋 웃었겠지. 도시의 비둘기는 어디에서 자나. 비둘기는 우리집 창문 구석에 와 잔다. 산다. 퉁명스럽게 우는 비둘기. 날개와 다리와 눈은 비둘기를 이루는, 다른 습성으로 맺음했다. 그리고 부리는 비둘기의 그런 소리를 내도록 셀 수 없는 시간동안 내어졌다. 비둘기 소리의 문법. 내 손가락은 쉼표와 마침표를 어떻게 맺나. 나는 얼마나 한 자리에 앉아서 타자를 두드리나. 이제 그걸 알아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