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제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정지돈 외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권이 더 있었을 것이나 지금은 1회 수상작품집 밖에 남아 있지 않다. 5회에 이르는 동안 두어권은 더 있었지 싶은데 보이지 않는다. 여간해서 책을 치우지 않는 나로서 '정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그나마 1회 수상작품집이 있는 이유는 다른 것 없이 그것이 '1회 수상작품집'이기 때문이다. 2회나 3회였다면 역시 수중에 없었을 것이다. 


어떤 이유인지 6회 수상작품집을 샀는데. 태반은 정지돈에 대한 궁금증 때문인 것 같다. 덧붙이자면 정지돈의 작품이 대상을 받은 것에 대한 궁금증이다. 예전에 <해변의 백가흠>이라는 이상한 작품을 본 적이 있어서 '이번에도 그런걸 쓴건 아니겠지.' 라는 불안, 밀려오는 의심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어제 오늘 다 읽었고. 변변찮은 감상을 붙이자면 이 작품이 대상인 것은 아마도 이 작품이 갖는 욕심보다는 작품상이 갖고 있는 욕심에서 비롯되었지 않았을까. 하는 마음이다. 여러모로 젊은, 작가상이라는 것은. 이 작품은 호기롭게 하이파이브를 날렸고(누가 맞장구치던 간에 상관없는) 하이파이브의 특성상 그것은 항시 우리의 머리보다 조금 위에서 찰싹 소리를 불러일으키는 정황이다. 그것을 눈치챈 심사위원들의 흡족한 기운이, 그들의 어깨에서부터 혹은 입꼬리에서부터 기똥찬 운동을 불러일으켰으리라 추측한다. 


이 작품에 대한 정영문의 심사평이 아주 재미있다. 정확히 말하자면 '심사를 하려는 마음가짐'에 대한 글로 한정해야한다. 하지만 그가 이 작품에 '높은 평을 주고 싶다'고 말함으로써 그 말이 뜻하는 바와 상관없이 정영문의 다음 작품이 무지무지 궁금해졌다! 충분히 이상한 소설을 쓰고 있으면서 더 이상해지려는 의지가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시 취향의 문제로 돌아오면 나는 <우리 모두의 정귀보>가 좀더 재밌었다. 이장욱은 재미없는 것을 뻔뻔하게도 재미있는 것처럼 쓰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작품에서 그것의 역전을 본 것 같았다. 물론 <조중균의 세계>와 <근린>도 얘기해야 한다. <조중균의 세계>에서 때로 조중균이거나 조중균을 둘러싼 사람이 된듯한 불편함이 잘 전해져왔다. 어쩌면, (물론 거짓말이겠지만)나는 조중균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알 것 같다. <근린>은 능란하게 짜는 공간이 흥미로운데 읽기가 좀 뻑뻑했다. 중편이면 어땠을까 싶다.


<루카>와 <여름의 정오>는 작품의 주제보다 문장이 전하는 감정에 마음이 갔다.  특히 <여름의 정오>가 심하다. 문장의 아름다움이 먼저 보이기 때문에 하고 싶은 얘기가 약해 보인다. 아니 실제로 약하다. 왜 파리인가. 방황하거나 아프기에 파리는 너무 낭만적이지 않나. 거의 다 얘기했으므로 손보미 <임시교사>도 얘기해야 할 것 같다. 더 붙일 말은 없고 내맘에 꼭 맞는 말이 있어 가져왔다. "손보미는 젊은작가상을 이미 세 번이나 연달아 수상했으므로 여간해서는 네 번 연속 수상할 수는 없었으리라고 예상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런데 「임시교사」는 여간하지 않았던 것이다."권희철 평론가의 말이다. 이 의견만큼은 100퍼센트군요. 여기에다 쓰기는 그렇지만 팟캐스트 잘 듣고 있습니다. 노래 하나가 떠올라 첨부합니다. 밖에서는 애들이 재잘대고, 오른쪽 손목이 시큰거리고, 이제는 봄도 아니고 여름이이다. 젊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