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 - 전체주의라는 악몽 오늘을 비추는 사색 3
마키노 마사히코 지음, 전경아 옮김 / 까치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아렌트를 읽어본 적이 없거나, 아렌트를 읽었는데 이해할 수 없었던 이에게 추천한다. 우선 분량이 매우 얇고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했다는 의지가 보인다. (한나 아렌트 소개를 반페이지로 끝낸다) 다음 책을 찾게 하는 개론서로 만족스럽다. 지식을 편집하는 측면에서 아렌트를 읽는 철학자의 구슬 꾐의 결과물, '책'의 유용함을 다시 한 번 느낀다. 


2. '전체주의'를 알기 위해서는 국민국가를 해체하는 제국주의의 태동과(그렇다면 국민국가도 알아야 한다. 국민국가는 계급과 계층으로 구성된다) 산업혁명으로부터 시작한 자본주의가 발전하기 시작했던 19세기를 알아야 한다. 이 포괄적인 세계 정세를 정리하면서 1장 반유대주의의 기원을 들어간다. 


3. 그래서, 전체주의가 왜 위험할까? 

인간관계를 이루는 공통 세계를 파괴하고 사람들에게서 제대로 된 판단력을 앗아가기 때문이다. 95p


4.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제대로 된 판단은 어떻게 이뤄질까? 

바로 공통 감각을 통해서이다. 공통 감각이란? 


사람들에게 공통된 감각, 다시 말해서 상식을 의미한다. 이것은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면서 선악을 재는 판단력의 기준이 된다. 그런데 여기서 타인은 외부에 있는 사람 만을 뜻하지 않는다. 자기 안의 또 한 명의 나, 상상 속에서 타자의 모델이 되는 인간이 존재해야 한다. 93p 


인간을 인간으로서 성립시키는 것은 "공통 세계"이다. (...)비로소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타자의 인정을 통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밝혀낼 수 있다. 94p


5. 전체주의가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사람들의 관계를 회복시키고 자유로운 "운동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154p 

 

6. 전체주의, 공통 감각, 공통 세계의 설명을 지나오며 서문을 다시 보면, 전체주의를 초래한 다양한 요인들이 오늘날에도 존재한다고 말한다. 민족, 인종 간의 대립, 경제 발전과 과학기술이 진전된 지금 전체주의가 모습을 바꿔 다시 등장할 위험이 오히려 커졌다고 한다. 여기에서 빠진 단어가 없는지 살펴본다. 



::까치글방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