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한 적과의 공존문명이란 무엇보다도 먼저 공동생활에 대한 의지다. 타인을 고려하지 않을수록 비문명적이고 야만적이다. 야만이란 분해를 향한 방향성이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야만의 시대는 인간이 분열하는 시대이며, 서로 분리되어 적의를 가진 소집단들이 만연하는 시대라 할 수 있다. (… ) 자유주의는 최고로 관대한 제도다. 왜냐하면 그것은 다수파가 소수파에 대 해 인정하는 권리이기 때문이며, 그렇기 때문에 지구상에 울려 퍼진 가장 고귀한 외침이다. 그것은 적, 그중에서도 가장 약한 적과도 공존하는결의를 선언한다. (…) 적과 함께 살기! 반대자와 함께 통치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통하는 신체 -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선다는 그 위태로움에 대하여
우치다 타츠루 지음, 오오쿠사 미노루.현병호 옮김 / 민들레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0p ...언제나 ‘구조적으로 지게 되어 있는 사람‘을 상정해보는 겁니다. 언제나 시간적으로 뒤처져 있는 사람이란 어떤 사람일까요? 바로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사람’입니다. 트라우마라는 것은 정신적 외상입니다. 과거에 심각한 정신적 상처를 갖고 있어서 무슨 일이 일어나도 언제나 과거의 경험으로 돌아가 과거의 프레임으로 현재를 삽니다.
하나의 점에 붙들려 몸을 움직일 수 없는 것, 그것을 무도에서는 ‘거착’이라고 말합니다. 보통은 발바닥이 바닥에 착 달라보이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 공간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는 말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야기해온 것처럼 당연히 ‘시간적인 거착’도 있을 수 있는 거지요. 어떤 시간의 한 점에 고착되어 시간이 앞으로 흐르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시간적으로 거착되어 있는 셈입니다. ‘저 사람은 저때부터 시계가 정지해버렸다‘고 말할 수 있는 겁니다.
트라우마에 사로잡힌 사람에게 시간은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언제나 과거로 돌아갑니다. 어떤 경험을 해도 그것을 과거의 프레임안으로 넣고는 그 프레임으로 바라봅니다. 무사시 씨의 경우는 편치를 한 방 먹었을 때 다음에 자신이 두 방 먹이는 것을 ‘현재’라고 생각함으로써, 말하자면 ‘미래로 도망감‘으로써 통증을 상대화합니다. 이와 반대로, 트라우마에 사로잡힌 사람은 과거의 어느 시점을 현재라고 생각함으로써 지금의 고통을 참기 쉬운 것으로 만듭니다. 즉, ‘과거로 달아남’으로써 현재의 고통을 완화시키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리의 현대사상 - 우리 주위에 만연한 허위 상식 뒤집기
우치다 타츠루 지음, 이지수 옮김 / 서커스(서커스출판상회)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캠퍼스라는 무의미하게 넓은 공간이 필요한 이유는, 그곳에 가면 자신이 알고 싶었던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 아니다. 그곳에 가면 자신이 그 존재를 모른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것과 우연히 마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캠퍼스를 어슬렁거리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그 때문이다. 캠퍼스를 어슬렁어슬렁 부유하다 보면 ‘뭔지 통 모르겠지만 굉장한 듯한 것’과 모순이 없지만 왠지 수상한 것‘을 직감적으로 분별해내는 전前지성적 능력이 차츰 몸에 배게 된다. 그리고 바로 그것이 어떤 면그 어떤 면에서는 대학 교육의 가장 큰 목표다.
-188-18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은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로는 절대로 생존하지 못한다. 사람은 생존 수단인 자신의 마음을 포기할 수도 있고, 자신을 인간 이하의 생명체로 전락시킬 수도 있고, 자신의 생명을 짧은 고통의 시간으로 바꿔놓을 수도 있다. 사람의 몸이 질병에 의해 붕괴되는 사이에 한동안 존재할 수 있듯이 말이다. 그러나 사람은 인간 이하의 존재로는 인간 이하에 속하는 것이 아닌 다른 것은 절대로 성취하지 못한다. 인류의 역사 중에서 반이성적이었던 시기의 추한 공포가 잘 보여주는 그대로이다. 사람은 선택에 의해 사람이 되어야만 하며, 사람에게 사람처럼 사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윤리의 과제이다.
-46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가는 역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역사는 국가의 자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자기 인식은 반드시 남을 매개로 생겨난다. 국가 또한 자신을 자각하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와 교섭해야 한다. 그 속에서 얻어지는 자각이 역사적 자각으로서 역사를 형성한다."
-5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