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 안에 달성할 목표 세 가지의 순위를 매겼다면, 다음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보라. 12개월 동안 10배 수준으로 해낼 수 있는 목표는 무엇인가? - P208
목표가 과정을 결정한다. 희망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길을 찾기 위해 생각하게 된다. 목표를 10배 높게 세우면, 현재의 과정이나 방식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 - P208
"10배를 기준으로 삼으면 다른 사람이 하고 있는 일을 건너뛰는 방법이 즉시 보인다." - P208
어떤 영역에서든 10배의 성과를 내겠다고 결심하면, 훨씬 더 강력한 해법이나 직접적인 방법을 찾거나, 아니면 직접 만들어내야 한다. 물론 시행착오도 있다. 하지만 미래의 나는 일주일만 지나도 이번 주에 내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방법을 알게 된다. 10배의 성과를 올리려면 집중과 단순함이 필수다. - P209
12개월 안에 달성할 목표 중 어떤 목표가 10배 수준으로 도약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가? - P209
"우리는 장애물을 만나 목표에서 멀어지는 게 아니다. 눈앞에 보이는 덜 중요한 목표를 추구하다가 진정한 목표에서 멀어진다." _로버트 브롤트 - P21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은 미래의 나를 멀리 있는 산으로 보고, 자신이 그 산을 향해 가고 있다고 상상한 것이다. - P211
어떤 기회가 나타날 때마다 그는 스스로에게 질문했다. "이 일로 내가 산에서 멀어질까 가까워질까?" 아무리 특별하고 좋은 기회가 생겨도 그 일이 산에 더 가까워지게 해주지 않으면 (닐) 게이먼Neil Gaiman은 "No."라고 말했다. - P211
내가 산을 향해 계속 걸어가는 한 성공할 거라는 걸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잠시 멈춰서 그 일로 내가 산에서 멀어지는지 가까워지는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P211
나는 잡지사의 편집자나 괜찮은 월급을 받는 일자리를 거절했습니다. 그런 일들이 매력적이긴 하지만, 그 일을 하다 보면 나는 산에서 멀어지게 될 게 뻔했으니까요. 아마 그런 일자리 제안을 더 일찍 받았다면 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때는 그 일로 산에 가까워질 수 있었을 테니 말입니다. - P212
지금 이 순간, 당신은 무엇에 가장 전념하는가? 그것은 결과로 나타난다. 무엇에 전념하는지 알고 싶다면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게 가장 빠르다.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하지만 다른 일 때문에 정신이 계속 산만해진다면, 그 다른 일에 전념하고 있는 것이다. 그 순간에는 그 다른 일이 더 중요한 목표다. - P212
행동은 미래의 나에 대한 시각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행동을 보면 무엇에 전념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전념하고 있는 일은 결과로 나타난다. - P213
전념은 ‘현재‘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진술이다. 당신이 무엇에 전념하고 있는지는 말이 아니라 결과로 알 수 있다. 우리는 모두 무언가에 전념하며 결과를 만들고 있다. 그 결과가 전념의 증거다. - P213
당신이 새롭고 더 나은 일에 제대로 전념한다면, 현재 하는 일 대부분을 중단할 것이다. - P213
순간순간 우리는 둘 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산에 전념할지 아니면 덜 중요한 목표에 굴복할지 말이다. - P213
미래의 나로 이끌지 않는 모든 일은 덜 중요한 목표다. - P214
"98퍼센트 전념하는 것보다 100퍼센트 전념하는게 더 쉽다." ...(중략)... 100퍼센트 전념하는 게 더 쉬운 이유는 일단 전념하면 내적인 충돌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완전히 전념한 상태에서는 결정 피로를 잠재우고 덜 중요한 목표를 제거한다. - P214
전념하려면 온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그러면 덜 중요한 목표가 떠오를 시간이 절대 없다. - P214
종종 우리는 습관대로 행동하거나 기존의 인간관계를 유지하는데 신경 쓴다. 전념하는 게 두렵기 때문이다. 어떤 일에 전념했는데도 결과가 좋지 않을까 봐 두려운 것이다. 그래서 눈앞에 명확히 보이는 덜 중요한 목표를 제거하기보다 그냥 하던 일을 계속한다. - P214
동기부여 측면에서 덜 중요한 목표를 추구하는 일은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동기가 생기려면 합당한 결과 또는 보상이 보장되어야 하고, 그 결과를 달성할 방법과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덜 중요한 목표는 강력한 동기를 부여한다. 쉽기 때문이다. 덜 중요한 목표는 빨리 보상을 안겨주며 도파민이 샘솟게 한다. 그래서 우리가 진정한 목표보다 덜 중요한 목표에 더 전념하는지도 모른다. - P214
덜 중요한 목표는 인생이라는 정원에서 마구 자라는 잡초나 마찬가지다. 덜 중요한 목표를 추구할 때마다 정원에 잡초를 심는 셈이다. 무엇을 심든 그대로 결과가 나온다. - P215
당신의 정원은 무엇을 생산하고 있는가? 당신의 정원은 미래의 나를 만드는 일에 최적화되어 있는가, 아니면 잡초가 무성한 혼돈의 상태인가? - P215
미래의 나를 실현하려면 자신의 목적에 100퍼센트 전념해야 한다. 목적과 정체성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장 전념하고 있는 것에 정체성이 있다.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정체성이 달라진다. - P215
미래의 내가 되는 2단계는 덜 중요한 목표에 전념하지 않는 것이다. 이 덜 중요한 목표들은 현재의 삶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순간순간 내리는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 P215
덜 중요한 목표가 삶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말은 그 목표가 기존의 습관과 행동, 인간관계와 관련 있다는 의미다. 그런 습관이나 일상적인 일들이 중요한 목표를 추구하는 일을 방해한다. - P215
덜 중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중요한 목표를 방해하는 일상적인 일들은 주로 무엇인가? 세 가지 우선순위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미래의 나는 ‘No‘라고 말할 일에, 현재의 내가 ‘Yes‘라고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목표에서 멀어지게 만드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전념하고 투자하는 일은 무엇인가? 가혹할 정도로 정직하게 평가해야 한다. - P216
행동은 당신이 무엇에 전념하고 있는지 분명히 보여준다. 매 순간 우리는 진정한 목적을 추구하는 삶을 살지 아니면 덜 중요한 목표에 굴복할지 선택해야 한다. - P216
덜 중요한 목표를 제거하는 일은 지속적인 과정이다. - P216
인생은 고정된 게 아니라 역동적이다. 거의 매 순간 우리 앞에는 다양한 선택지가 펼쳐진다. 정신을 빼앗는 일이나 다른 사람의 의견, 자신의 내적 갈등이 삶에서 계속 고개를 든다. 따라서 그때마다 어떤 게 최선의 결정인지 깨달으려면 깨어 있는 마음과 분별력이 필요하다. - P216
명확한 우선순위를 세우고 구체적인 목표에 전념해야만 처한 상황에서 어떤 게 최선인지 분별할 수 있다. - P216
이 일을 하면 목표에 가까워지는가?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가? 이 질문의 대답이 ‘No‘라면 목표에 다시 초점을 맞춰야 한다. 혹시 길을 잃고 덜 중요한 목표를 추구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신속하게 목표에 다시 전념하라. - P217
완벽함은 더는 추가할 게 없을 때가 아니라 더는 뺄 게 없을 때 이루어진다. - P217
당신이 당장 제거할 수 있는 덜 중요한 목표는 무엇인가? - P217
"하든지 말든지 해. 그냥 한번 해보는 건 없어." _요다 Yoda - P219
당신이 무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그것에 대해 건강하지 않은 애착이 있는 것이다. 필요는 심한 결핍을 암시한다. 따라서 무언가 필요하면, 그것이 충족되기 전에는 온전한 삶을 살지 못하거나 행복하지 않다. - P220
열망이 필요보다 더 건강한 정신 상태다. 하지만 열망 역시 결핍된 상태다. 무언가 원한다는 것은 그것을 갖지 못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 P220
앎은 열망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앎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면 인생은 수용과 평화, 감사의 삶이 된다. - P220
20세기 초, 작가이자 신비주의자 플로렌스신은 "믿음이란 이미 받았다는 것을 알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와 비슷하게 영화배우 덴절 워싱턴Denzel Washington도 "무언가 좋은 것을 마음속으로 간절히 바라는 것은 이미 그것이 당신의 것임을 알려주려고 신이 보낸 증거다."라고 말했다. - P221
원하는 것이 이미 당신의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 그것을 몰랐을 때와는 다르게 행동한다. 실적을 올릴 것을 아는 세일즈맨은 실적을 올리기를 원하는 세일즈맨과 다르게 행동하지 않겠는가? - P221
내일 아침에 일어나 체육관에 갈 거라는 걸 아는 사람은 그저 그렇게 하기를 원하는 사람과는 분명히 다르다. 앎은 내적 경험이자 수용이다. - P221
데이비드 호킨스는 ‘의식 지도map of consciousness‘라는 것을 고안했다. 이 지도는 수치, 공포, 분노 등 낮은 수준의 감정에서 용기, 수용, 사랑, 깨달음 등 높은 수준의 감정까지 발전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 P220
호킨스의 의식 지도에 있는 상위 수준의 감정을 더 잘 느낄수록 자신이 원하는 삶을 만들기가 더 쉬워진다. 반대로 하위 수준의 감정을 더 많이 느낀다면, 삶은 마찰과 저항, 고통이 가득할 것이다. 이 지도에서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건, 필요에서 열망으로, 열망에서 앎으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 P220
눈을 감고 미래의 나를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상상해보라. 원하는 곳에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보라. 어떤 집에서 살고 있는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벽난로 앞에 아늑하게 앉아 있는가? 일정한 속도로 마라톤을 완주했는가? - P221
당신이 원하는 바가 이미 당신의 것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 사실을 마음 깊이 받아들여라.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있는지 신께 기도해 물어봐도 좋다. 그리고 평화가 정신에 깃들 때까지 기다려라. 평화와 미소를 느껴보고 미래의 모습에 대해 진정한 감사를 표하라. - P221
감사는 무언가를 받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감정이다. 보통 우리는 무언가를 받은 다음에 감사함을 느낀다. 감사라는 감정에는 감사한 일이 이미 일어났다는 신호가 들어 있다. 따라서 감사하거나 고마움을 느낀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받은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 P222
감사함을 나타낼 때 우리의 무의식은, 미래의 현실이 지금이 순간에 나타난 것이라고 믿기 시작한다. 미래에 느낄 감사함을 지금 느껴야 한다. 이것은 이성적인 과정이 아니라 본능적인 과정이다. - P222
당신이 마땅히 받을 자격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당신이 원하는 것을 받기 전에 이미 받았다는 감정을 당신의 무의식에 알려줄 수 있을까? 원하는 것을 받으려면, 지금 미리 감사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 P222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자신이 그것을 얻을 자격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머리로는 목표를 상상할 수 있을지 몰라도 감정이 목표를 실현하는 일을 방해한다. 그들은 미래의 나를 믿지 않는다. 그들은 풍요로움이 자신의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제약에 갇혀 자신이 바라는 미래를 감정적으로 거부한다. - P222
나폴레온 힐Napoleon Hill은 "마음이 상상하고 ‘믿는‘ 것은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갖지 못한 것을 청하는 기도가 아니라, 이미 받은 축복에 감사하는 기도를 한다면, 원하는 것을 더 빨리 얻을 것이다."라고 했다. - P222
감사의 힘은 이미 일어난 일에 감사를 표현하는 데 있다. 미래에 받고자 하는 것에 미리 감사함을 나타내면, 그 힘은 극적으로 강력해져서 열망에서 앎으로 나아가게 된다. - P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