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 ㅣ 알맹이 그림책 23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일론 비클란드 그림, 김서정 옮김 / 바람의아이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어릴 적 크리스마스를 기다려 보셨나요?
제게 크리스마스는 교회에 가서 예배 드리고 연극을 보는 날이었지 산타클로스가 선물을 주고 가는 날은 아니었답니다.
초등학교에 가고 귀동냥으로 산타할아버지가 있다는 말에 양말을 머리맡에 놓고 잤지만 실망과 아쉬움만 담겨 있을 뿐,, 그래서 언젠가부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설레거나 기다리진 않았던 거 같아요.
대신 설과 추석같은 명절을 기다렸던 기억이 납니다.
명절 때면 옷이나 신발을 하나 얻어 신을 수 있고 또 맛난 것도 먹고 용돈도 받을 수 있었으니까요..
스웨덴에서는 부활절을 우리나라 명절처럼 보낸다고 해요.
학교는 따로 방학을 하고 남녀노소 모두 마녀 분장을 하고는 사탕이나 초콜릿을 얻으러 다니고 집마당에 사탕, 초콜릿을 채운 달걀을 숨겨놓고 가는 부활절 토끼가 있다고 믿고요.
이 책은 스웨덴의 부활절 풍습과 부활절을 기다리는 아이들, 그리고 부활절 토끼가 된 로타의 이야기가 아주 유쾌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책 제목은 분명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인데 동화는 "나 화났어! 그거 알지?"하며 시작됩니다.
거기다 로타는 언니, 오빠에게 세상에서 제일 멍청하다고까지 말하지요.
오전 내내 언니 오빠가 부활절 방학을 하고 오면 부활절 마녀 옷을 입고 마을을 다니며 사탕과 초콜릿을 받을 달콤한 꿈을 꾸었는데 갑자기 친구의 생일파티에 가야한다고 하니 너무 속상할 만 하죠.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로타의 화는 슬슬 풀리고 로타는 마당에 나가 부활절토끼가 달걀을 숨길 만한 곳을 찾아보기도 하고 이웃에 사는 베르크 아줌마네 집에 들러 숨 쉬기가 힘든 아줌마의 심부름도 해요.
"제가 여기서 왔다 갔다 하면서 돌봐 드려서 아줌마는 좋겠어요."라고 말하는 로타!
이 맹랑한 꼬마 아가씨는 혼자 크라흐마허 거리로 나가 바실리스 아저씨의 사탕가게에 들르고.. 문을 닫고 고향으로 가게 된 아저씨로부터 뜻밖의 선물, 크리스마스 천사랑 산타클로스랑 사탕 돼지랑 눈사람을 받고 "언제나 기분 좋은 아이"라는 칭찬도 듣습니다.
크리스마스 장식 초콜릿과 사탕을 헛간에 숨겨놓고 배가 간질간질해질 만큼 기분이 좋아진 로타는 늦게 부활절 마녀가 되어 과자를 별로 얻지 못했어도 기분은 괜찮습니다.
바실리스 아저씨의 사탕가게가 문을 닫아서 부활절 토끼가 올 수 없다고 실망하는 언니 오빠와 달리 로타는 아직 부활절 토끼는 진짜 부활절 토끼여야 하고 산타클로스는 진짜 산타클로스여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기다리던 부활절 토요일 아침 로타네 정원엔 엄청나게 많은 산타클로스와 천사, 사탕돼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엄마, 아빠는 어떻게 된것인지 영문을 모르지만 아이들은 그냥 행복한 웃음이 터지지요.
"그래도 난 기분 좋은 아이야. 바실리스 아저씨가 그랬어. 그리고 지금은 특별히 기분이 더 좋아."
로타와 로타가족의 부활절은 행복합니다.
그리고 로타를 보는 저도 바실리스 아저씨가 로타에게 했던 말처럼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이 작품은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을 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작품이에요.
책을 읽기 전 린드그렌의 작품이란걸 알아서인지 로타의 모습에서 자꾸 말괄량이 삐삐가 연상되어지더군요.
게다가 로타의 대화글은 텔레비젼에 나오던 삐삐의 목소리로 들려질만큼 로타는 삐삐를 좀 많이 닮아 있어요.
생각나는 대로 말하고 화도 잘 내지만 또 그만큼 풀기도 잘하고 혼자 생각하기를 즐기고 자기 주변의 것들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이웃 베르크 아줌마를 돕는 자상함과 바실리스 아저씨와의 이별에 슬퍼하며 위로의 말도 챙길 줄 아는 따뜻한 아이죠.
토라지고 화내고 의기양양하게 당당하고, 슬퍼하고 기뻐하고, 또 무엇보다 자신을 사랑하는 아이, 로타!!
아이의 마음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통통튀는 아이의 모습을 대화글과 독백을 통해 느끼게 됩니다.
행복한 결말도 그렇고 아이에게서 느껴지는 풍부한 정서 그리고 순수함과 활기가 있어 책을 읽는 동안 즐겁게 했어요.
로타는 바실리스 아저씨가 했던 말을 떠올리며 동화의 마지막에서 '자기는 기분 좋은 아이'라고 '그리고 지금은 특별히 기분이 더 좋아'라고 말해요.
아이에게 건네는 말 한 마디의 힘이 어떤 것인지 절로 느껴지는 대목이죠.
가족을 위해 깜짝 선물을 하고서 깔깔 웃고 날마다 식구들을 놀라게 할 수 있다면 좋겠다 하는 로타를 보며 나누는 것이 행복임을 아는 로타가 무척이나 기특하고 사랑스러웠습니다.
순수한 아이의 모습에서 우리 아이들을 이해하게 하는 책, 건강한 로타의 웃음 뒤에 린드그렌이 떠올려지는 책입니다.
[로타는 기분이 좋아요]라는 책 제목은 '로타의 기분이 지금 좋아요'라는 뜻도 있지만 '로타를 보면 기분이 좋아져요'로도 풀이될 듯 하네요.
말괄량이 삐삐처럼 로타도 오래오래 씩씩하고 기분좋은 아이로 기억될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