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은 여자가 되나니 - 아킬레우스의 노예가 된 왕비
팻 바커 지음, 고유라 옮김 / 비에이블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보기 전 트로이 영화를 먼저 보았었다. 내용보다는 브래 피트의 잘생김이 눈에 더 들어왔고 일리아스 책은 원전을 그대로 번역해서인지 제대로 감상하며 읽지를 못했었다. 그 후, 해설집과 같은 책을 읽고 <일리아스>의 내용을 어느 정도는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노예는 물건처럼 취급되는 사람이 아니다. 노예는 물건이다"

<침묵은 여자가 되나니>는 트로이 전쟁 속에서 브리세이스에 관한 이야기이다.

여왕이었으나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약탈하여 데리고 온 여인이다.

자신의 가족을 죽인 아킬레우스의 노예가 된 브리세이스를 통해 전쟁에서 여자들의 절망적인 삶을 볼 수 있다.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사이에서 물건처럼 취급받아 주인이 바뀌기도 하고, 허드렛일과 병사들을 간호하고, 밤에는 성 노예로 치욕적인 수모를 당한다.

브리세이스는 그리스 많은 신들에게 간절하지만 서투르게 아킬레우스의 죽음을 위한 기도를 드린다.

이 책을 통해서 전쟁에서의 여성의 삶을 알 수 있었기에 그 참혹상을 느낄 수 있었다. 어떤 신분, 어떤 삶을 살아왔던지 와 상관없이 패전국의 여성들은 노예로서 동등해질 뿐이었다. 온갖 더러운 수모를 당해도 죽지 않으면 끝나지 않을 비참함에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위대한 아킬레우스, 영민한 아킬레우스, 신과 같은 아킬레우스, 그를 가리키는 수많은 별칭들 우리는 그중 어떤 것도 그를 부르지 않았다. 우리는 그를 도살자라고 불렀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나 다른 역사 책들을 보면은 대부분 아킬레우스를 영웅이라고 칭한다. 혹은 아이아스, 오디세우스, 헥토르 등 남성의 영웅적인 모습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다. 웃기게도, <일리아스>는 헬레네가 전쟁의 시발점이어도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이다.

<침묵은 여자가 되나니>를 읽기 전에는 전쟁의 이야기, 중심인물에만 관심이 있었으나 이 책을 읽으니 나의 편협함 부끄러움과 여러 의구심들이 머릿속에 가득하다.

어떻게 보면 비주류인 여성의 관점에서 전쟁을 다루고 있는 책을 보니 같은 내용이지만 이렇게나 다르게 감상과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나는 아킬레우스의 서사에서 빠져나오려고 시도했고, 실패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나의 이야기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으나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려라 메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실격과 또 다른 매력을 갖고 있을 다자이 오사무의 책 그 어느 말이 더 필요할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부 살인자의 성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05
페르난도 바예호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콜롬비아 현대사의 통렬한 비판, 분노와 애도를 담고 있다는 책의 소개글만으로 궁금증을 유발하기에 너무나 읽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술탄 셀림 - 근대 세계를 열어젖힌 오스만제국 최강 군주
앨런 미카일 지음, 이종인 옮김 / 책과함께 / 2022년 5월
평점 :
절판




책을 읽다 보면 가끔 역사적으로 궁금한 사실이나 내용을 다루고 있는 책이 없을까 꼬리를 물어 궁금해진다. 잘 알지 못하지만 역사 분야를 흥미 있어 하기에 관련된 책을 찾아본다. 아쉬운 것은 절판되었거나 아님 서양 중심의 사고관을 토대로 다루고 있는 책들이 많다.

나는 학창 시절 때 세계사를 안 배웠기에 책을 통해 이것저것 겉핥기 식으로 읽다 보니 그리스 로마제국에 대한 흥미를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점점 궁금함이 가지치기를 하면서 오스만 제국, 페르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칭기즈칸 등등 역사적으로 너무나 유명한 사실들을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

<술탄 셀림>은 대부분의 독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오스만 제국의 강력한 통치력을 펼친 '셀림'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방대한 양을 가진 책이고 익숙하지 않은 역사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렵지가 않아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나라로 군림했다. 고대 로마 이래로 지중해에서 가장 거대한 제국이었고 이슬람교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제국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당대 거의 모든 주요 사건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쳤고 그 파급 효과는 우리가 사는 오늘날까지 미치고 있다.

지난날 동안에 오스만 이야기의 대부분은 역사학자와 일반 독자들에 의해 일축되거나 무시되어 왔다고 한다. 주된 이유는 유럽인들이 무슬림에 대해 갖고 있는 태도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이슬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많이 갖고 있다.


"세상에 드리운 신의 그림자"

고대 로마 이래로 오랫동안 지속해 온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은 어떤 사람일까?

그는 누구보다도 오스만제국을 크게 변화시켜 세계적 강국으로 만든 사람이었다. 열 명의 왕자 중 넷째인 그는 아나톨리아의 한 작은 도시에서 노예 출신 첩의 아들로 태어났다. 훗날 술탄의 지위에 오르기에는 너무나 거리가 멀 것만 같았던 그였으나 무자비하고 무정한 통찰력을 토대로 배다른 형제들을 살해하였고 심지어 자신의 아버지도 끌어내리고 본인이 왕좌를 차지하였다.

셀림은 국내 문제를 평정한 후 동쪽 방향으로 눈을 돌려 주요 전쟁을 수행했다.

그중 주요한 업적으로 셀림은 예루살렘을 정복함으로써 콜럼버스와 거의 모든 십자군 전사들이 실패했던 곳에서 성공을 거둔다.

점점 영토를 확장한 그는 다른 어떤 군주보다도 더 많은 영토를 지배했으며 세상의 대도시인 이스탄불과 카이로를 다스렸고 세상의 어떤 군대도 대적하여 이길 수 있는 군대를 휘하에 뒀다. 그는 세상의 중심을 통제했고, 모든 주요 바다와 대양에 있는 항구들 사이의 무역을 독점했으며, 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군주이자 신이 이 세상에 드리운 신성한 그림자가 됐다.

하지만, 인간의 삶은 유한하였으니 셀림도 피해 가지 못하였다. 역병을 피해 이스탄불을 떠나 있던 그는 시름시름 앓기 시작하였으며 손도 못 댈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오래되지 않아 그는 마지막 숨을 내쉬었다.

셀림의 뒤를 이어 아들 술레이만이 술탄에 즉위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그는 어리석지 않아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제국 치세를 잘하였다.




놀라웠던 사실은 콜럼버스의 이야기였다. 콜럼버스는 오스만제국의 영향권을 피해 가고자 처음으로 지중해를 벗어나 북쪽으로 여행했다. 여러 차례 모험을 한 후에 그는 20대 말에 포르투갈로 돌아가 자신의 항해 기술을 더 큰 목적, 이슬람교의 파괴에 바치기로 결심했다. 그는 이슬람 세력을 없애기 위한 첫 시도로 리스본에서 출발하여 남쪽으로 항해했다. 그는 자신의 십자군 운동을 신세계로 확대할 것이었지만 그곳에도 이슬람교가 존재한다는 걸 알고 경악하게 된다.

콜럼버스의 항해에 자금을 댈 이사벨라와 페르난도는 이슬람교에 대해 전쟁을 선포했다.

콜럼버스의 역사적 내용을 제대로 알지는 못해 함부로 말할 수는 없겠지만 서양 제국에서 이슬람에 대한 배척과 반감은 엄청나게 강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양 중심의 역사 세계관에서 벗어나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오스만 제국과 강한 영향력을 펼친 셀림을 다루고 있는 책이다. 나의 편견을 깨닫게 해주는 역사적 사실도 있었고 책을 덮을 때까지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술탄 셀림>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으나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노말리
에르베 르 텔리에 지음, 이세진 옮김 / 민음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개월의 시간차를 두고 똑같은 사고가 일어나고 도플갱어의 소개글만 봐도 너무 흥미롭다 영화와 같은 소설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