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은 여자가 되나니 - 아킬레우스의 노예가 된 왕비
팻 바커 지음, 고유라 옮김 / 비에이블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보기 전 트로이 영화를 먼저 보았었다. 내용보다는 브래 피트의 잘생김이 눈에 더 들어왔고 일리아스 책은 원전을 그대로 번역해서인지 제대로 감상하며 읽지를 못했었다. 그 후, 해설집과 같은 책을 읽고 <일리아스>의 내용을 어느 정도는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노예는 물건처럼 취급되는 사람이 아니다. 노예는 물건이다"

<침묵은 여자가 되나니>는 트로이 전쟁 속에서 브리세이스에 관한 이야기이다.

여왕이었으나 아킬레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약탈하여 데리고 온 여인이다.

자신의 가족을 죽인 아킬레우스의 노예가 된 브리세이스를 통해 전쟁에서 여자들의 절망적인 삶을 볼 수 있다.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사이에서 물건처럼 취급받아 주인이 바뀌기도 하고, 허드렛일과 병사들을 간호하고, 밤에는 성 노예로 치욕적인 수모를 당한다.

브리세이스는 그리스 많은 신들에게 간절하지만 서투르게 아킬레우스의 죽음을 위한 기도를 드린다.

이 책을 통해서 전쟁에서의 여성의 삶을 알 수 있었기에 그 참혹상을 느낄 수 있었다. 어떤 신분, 어떤 삶을 살아왔던지 와 상관없이 패전국의 여성들은 노예로서 동등해질 뿐이었다. 온갖 더러운 수모를 당해도 죽지 않으면 끝나지 않을 비참함에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위대한 아킬레우스, 영민한 아킬레우스, 신과 같은 아킬레우스, 그를 가리키는 수많은 별칭들 우리는 그중 어떤 것도 그를 부르지 않았다. 우리는 그를 도살자라고 불렀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나 다른 역사 책들을 보면은 대부분 아킬레우스를 영웅이라고 칭한다. 혹은 아이아스, 오디세우스, 헥토르 등 남성의 영웅적인 모습을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다. 웃기게도, <일리아스>는 헬레네가 전쟁의 시발점이어도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 뿐이다.

<침묵은 여자가 되나니>를 읽기 전에는 전쟁의 이야기, 중심인물에만 관심이 있었으나 이 책을 읽으니 나의 편협함 부끄러움과 여러 의구심들이 머릿속에 가득하다.

어떻게 보면 비주류인 여성의 관점에서 전쟁을 다루고 있는 책을 보니 같은 내용이지만 이렇게나 다르게 감상과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나는 아킬레우스의 서사에서 빠져나오려고 시도했고, 실패했다. 하지만 지금부터는 나의 이야기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으나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