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의 세계화 - 왜 전 세계적으로 엘리트에 대한 공격이 확산되고 있는가
존 B. 주디스 지음, 오공훈 옮김, 서병훈 / 메디치미디어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미국 시카고 출신의 저명한 정치, 사회 분야의 미국내 저술가로 잘 알려진 존 주디스의 최근 저작 ‘포퓰리즘의 세계화‘를 방금 일독을 했습니다. 아마존닷컴에서도 이 책에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는데요. 미국내 여러 주요 언론인들도 마찬가지로 찬사를 보내고 있습니다. 마침 얼마전에 우리나라에도 번역 출간되어서 저도 겸사겸사 읽게 되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언급 때문에 더 유명해진 것이 아닌가 추측해봅니다.

포퓰리즘은 흔히 대중 인기 영합주의라고 읽혀집니다. 제 생각으로는 기존의 정치 체제에 도전하는 사람 혹은 집단에 대한 편협한 해석과 그 현상에 대한 마땅한 분석의 틀이 없을 때도 이러한 포퓰리즘 적 해석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도 밝히고 있지만 포퓰리즘과 파시즘은 매우 유사한 면을 보이는데, 양자 사이에 차이점이 있다면 파시즘은 결국 민주주의 체제를 파괴하지만 포퓰리즘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겠죠. 포퓰리즘은 주로 민주주의 정치 체제를 비판하기 보다는 그 체제 안에서 과분한 과실을 따먹고 있는 소수의 엘리트들과 기득권 세력에 대한 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도전에 대한 과정과 방법이 보통의 정치 과정의 틀을 벗어나는 모습이 많기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미국의 양당 정치 속에서 초기 반향을 일으켰던 초기 정치인들을 언급하고 뷰캐넌, 페로와 최근의 미국 대선이었던 트럼프와 샌더스를 이러한 포퓰리스트적 현상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사회민주주의자로 일컫는 샌더스와 자신이 공화당원임을 자처하지만 전통적인 공화당의 정책과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는 일종의 수정주의적 공화주의자 트럼프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는데요. 덩달아 두 사람의 간략한 삶의 행적을 살펴볼 수가 있었습니다. 트럼프는 1987년부터 동맹국들에 대한 방위비 분담을 주장한 것으로 나오는데요. 그는 이민자에 대한 배척, NAFTA와 중국과의 무역에 대한 비판 등 다소 일방주의적 발언을 하고 있는데 이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만큼 일종의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며 기존의 질서에 대한 도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럽으로 가서 영국과 프랑스, 덴마크와 그리스, 스페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최근에 급속하게 정치 세력화하고 순식간에 최근 이슈들에 대한 파격적인 제안 등 자신들이 주장하는 정치적 요구들이 어떠한 파장을 낳을 것인가에 대해 숙고가 없이 단기적인 유권자들의 표만을 얻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기득권과 엘리트들에 대한 반감 뿐만 아니라 기존의 질서와 시스템에 크게 도전하며 물리적으로 그들을 지지하는 유권자와 유권자들이 속해있는 국가에 좋지 않은 결과에 연연하지 않는 행동이 포퓰리즘적 행태라고 비로소 정의 내릴 수 있겠더군요.

얼마전에 읽었던 조기숙 교수의 포퓰리즘 정치학이라는 글에서도 특별한 정책적 비전 없이 자신이 아니면 안된다는 식의 포퓰리스트들이 건전한 정치 토양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2008년에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은 신자유주의가 미국에서는 아직 철회를 내리기가 용의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영국의 EU 탈퇴와 유로존의 붕괴 그리고 EU가 해체된다면 미국와 유럽 동시에서 신자유주의가 소멸이라는 결과를 맞이한다면 이미 그 불씨를 뿌린 포퓰리즘은 어떠한 형태로 진화를 보일지가 매우 중대한 관심사일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