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통해 북한을 본다
송봉선 지음 / 시대정신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현재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겸임교수이자, 북한연구소 소장인 송봉선 선생의 글입니다. 대략 400페이지 분량의 책이지만 읽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그만큼 흥미로운 부분이 많아서 일겁니다.

중국과 북한 양국은 한반도 분단 이래 계속 이어온 우호와 협력의 관계일 것입니다. 혹자들이 말하듯 북중 동맹 체제가 1992년 한중 수교로 인해 전면적인 재설정이 되었다고 하지만 아직도 중국과 북한 양자에게는 서로가 매우 중요한 위치인 것만은 분명해보입니다. 근래 제가 읽었던 북한 관련 글들 중에 이처럼 북한을 해석하는데 북중관계를 따로 떼어놓지 않고 양국을 묶어 설명한 책은 처음 접해보는 것 같습니다. 물론 북한을 이해하는데 중국을 빼놓고는 설명이 되지는 않지요. 마찬가지로 국내에 여러 학자들이 내놓은 북한 관련 책들에서도 중국은 빠짐없이 언급되는 편입니다. 그렇지만 시대의 흐름으로 공동의 운명체처럼 양국의 역사적 행위를 서로의 인과관계처럼 충분한 사료들을 준비해 해석한 글은 많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각 장은 중국과 북한의 우호 협력관계를 필두로 경제, 정치, 북핵문제 등과 최근의 탈북자 문제, 중국의 동북공정 문제를 단순히 언급하는 수준에 그치는 게 아니라 관련된 많은 정보들을 끌어와 독자들에게 큰 이해를 돕게 하고 있습니다. 책 뒷면에 저자는 ‘일반 독자에게는 중국과 김정일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상식을 넓히는 자료로 활용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출간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조만간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의 글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과거 시진핑 주석이 그들이 말하는 한국전쟁을 일컫는 소위 항미원조전쟁에 대해 ˝평화를 지키고 침략에 맞서기 위한 정의로운 전쟁˝이라 말하는 것에 중국에게 북한이 어떤 상대국인지 알게 됩니다. 더욱이 일부 중국 지식인들은 북한의 핵이 자신들에게 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을 하는 걸 보면 뭔가 우리와는 다른 세계 사람들이라는 함의가 느껴졌습니다. 과장된 인식일수도 있지만 북핵의 연원 또한 상당 부분 중국이 관여했고 그 모태가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파키스탄의 핵에 중국이 밀접하게 도움을 줬듯 북한의 핵개발도 파키스탄의 핵 과학자 합둘 카디르 칸에게 상당한 도움을 받은 것이 사실이니까요. 뿐만 아니라 스커드 미사일 같은 장거리 미사일 기술도 북한이 이란, 이집트, 시리아, 파키스탄 등에 제공해 그 지역 안보에 절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보아도 중국이 과연 북한 리스크를 제대로 관리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물론 이 책에서도 저자가 언급했듯이 북한 지역은 중국의 중요한 완충지대로서 그리고 동북 3성을 개발하기 위한 배후지로서 그 경제적인 측면도 매우 중요해졌으니 더욱 관여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고 봐야 되겠죠.

중국은 지역내에 미국을 벗겨내고 군사적 패권을 지향하려고 하고 있어서 더욱더 자신들의 논리와 이해를 바탕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에 대해 한국 전쟁부터 최근 북핵문제까지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깊이 이 책을 통해 좀 더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양자간의 관계가 매번 좋을 수는 없는 것처럼 두 나라의 관계의 여러 부침도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최근에 중국이 북한내에 공을 들이고 있는 지하자원 개발과 창지투 및 나진 선봉 지구와 관련된 주제도 담고 있습니다. 끝으로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서 북한과 중국 국경 지역의 실태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중국은 이 탈북자들에 대해 ‘단순 월경자이기 때문에 난민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라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데 탈북자가 중국 동북 3섬에서 꼬리를 잡혀 북한으로 강제 송환되는 이유가 바로 이 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